[2024 소비자정책포럼] 윤수현 소비자원장 "유통업계 AI 혁신, 소비자 만족·신뢰·안전에 목표 둬야"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김다인 기자
입력 2024-06-26 12:00
    도구모음
  • AI 기사요약
  • * AI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맥락과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 전체를 보시길 권장합니다

    윤수현 한국소비자원 원장이 26일 오전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제15회 소비자정책포럼'에서 축사를 하고 있다.

    윤 원장은 한국소비자원이 소비자와 기업 모두의 이익 제고를 위해 노력하겠다고 약속했다.

    그는 "한국소비자원은 소비자 권익 증진과 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연간 약 60만건의 소비자상담 정보와 7만여 건의 위해 정보를 분석해 소비자 중심 경영을 하고자 하는 기업과 업계에 제공하고 있다"며 "다양한 기업이 참여하고 있는 사업자협의체를 통해 기업 스스로 소비자 안전을 위협하는 제품이나 서비스의 유통을 차단해 시장을 소비자 지향적으로 개선하도록 돕겠다"고 말했다.

  • 글자크기 설정
윤수현 한국소비자원 원장이 26일 오전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제15회 소비자정책포럼에서 축사를 하고 있다 20240626사진유대길 기자 dbeorlf123ajunewscom
윤수현 한국소비자원 원장이 26일 오전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제15회 소비자정책포럼'에서 축사를 하고 있다. 2024.06.26[사진=유대길 기자 dbeorlf123@ajunews.com]

“생성형 인공지능(AI) 기술이 발전하면서 이를 서비스와 제품 혁신에 적용하는 기업들이 늘고 있는데, 이 모든 혁신 활동은 소비자 만족과 신뢰, 안전에 궁극적인 목표를 둬야 한다.”
 
윤수현 한국소비자원장은 26일 아주경제신문 주최로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제15회 소비자정책포럼’ 축사에서 국내 유통시장 위기에 대해 이같이 말했다.
 
윤 원장은 “초연결·초융합의 새로운 시대를 열어가는 디지털 전환 시대에 유통업은 이러한 변화를 가장 크게 느끼는 분야”라며 “2013년 38조원이던 한국 온라인쇼핑 거래액이 2023년에는 228조원으로 10년 만에 6배 증가할 만큼 온라인이 오프라인 시장 역할을 대신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올해 초부터 두드러진 중국 쇼핑 플랫폼의 세계 시장 진출이 위기감을 더욱 고조시키고 있다”면서도 “보다 근본적인 위기는 기업들이 혁신과 소비자 신뢰를 얻으려는 노력을 멈추려고 할 때 발생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윤 원장은 역설적으로 기술 발전이 소비자 이익을 보호하지 못한다고 진단했다. 그는 “디지털 기술 발달이 다크패턴(눈속임 상술) 같은 소비자 기만을 낳고 알고리즘을 통제해 기업의 기익을 극대화하고 소비자 이익을 침해한다”고 지적했다.

윤 원장은 한국소비자원이 소비자와 기업 모두의 이익 제고를 위해 노력하겠다고 약속했다. 그는 “한국소비자원은 소비자 권익 증진과 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연간 약 60만건의 소비자상담 정보와 7만여 건의 위해 정보를 분석해 소비자 중심 경영을 하고자 하는 기업과 업계에 제공하고 있다”며 “다양한 기업이 참여하고 있는 사업자협의체를 통해 기업 스스로 소비자 안전을 위협하는 제품이나 서비스의 유통을 차단해 시장을 소비자 지향적으로 개선하도록 돕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