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전력반도체 기업 등 3개사 한국에 8500억원 투자 확정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김유진 기자
입력 2024-06-26 23:30
    도구모음
  • AI 기사요약
  • * AI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맥락과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 전체를 보시길 권장합니다

    산업당국이 미국의 전력반도체 기업 등 3개사로부터 총 8500억원(6억1000만 달러) 규모의 대한(對韓)투자를 유치했다.

    26일(현지 시각)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미국의 온 세미컨덕터(On Semiconductor)와 코닝(Corning), 퍼시피코 에너지(Pacifico Energy) 등 3개 기업은 8500억원 규모의 대한 투자를 확정했다.

    세계 2위 전력반도체 기업인 온 세미컨덕터는 지난해 10월 부천 사업장 내 실리콘카바이드(SiC), 전력반도체 전용 공장을 완공했다.

  • 글자크기 설정
  • 세계 2위 기업 '온 세미컨덕터' 등 투자 유치 성공

세종시 정부세종청사 13동 산업통상자원부 20231013사진유대길 기자 dbeorlf123ajunewscom
세종시 정부세종청사 13동 산업통상자원부. 2023.10.13[사진=유대길 기자 dbeorlf123@ajunews.com]

산업당국이 미국의 전력반도체 기업 등 3개사로부터 총 8500억원(6억1000만 달러) 규모의 대한(對韓)투자를 유치했다.

26일(현지 시각)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미국의 온 세미컨덕터(On Semiconductor)와 코닝(Corning), 퍼시피코 에너지(Pacifico Energy) 등 3개 기업은 8500억원 규모의 대한 투자를 확정했다.

세계 2위 전력반도체 기업인 온 세미컨덕터는 지난해 10월 부천 사업장 내 실리콘카바이드(SiC), 전력반도체 전용 공장을 완공했다. 이번 투자를 통해 생산 설비 증설을 추진할 계획이다. SiC는 기존 실리콘 제품 대비 고온·고전압에 대한 내구성과 전력 효율성이 우수한 차세대 소재로 온 세미컨덕터가 강점을 가진 분야다. 온 세미컨덕터는 기존 부천 공장을 SiC 전력반도체 제조 허브로 정하고 2022년부터 대규모 투자를 이어오고 있다.

첨단소재 분야 글로벌 혁신기업인 코닝은 디스플레이·모바일 등에 적용되는 특수유리, 세라믹, 광케이블 등을 생산한다. 차세대 공정기술 적용을 위해 충남 아산에 있는 코닝정밀소재 사업장에 생산설비 고도화 투자를 진행할 예정이다. 지난 50년간 한국에 13조원 이상을 투자해 온 코닝은 디스플레이와 모바일 등 다방면에서 기술 혁신을 추구할 계획이다.

퍼시피코 에너지는 미국·일본·베트남 등에서 태양광·풍력 사업을 운영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전남 진도 지역에 총 3.2GW(기가와트)의 대규모 해상풍력 발전단지 조성 프로젝트를 추진 중이다. 이는 미국 에너지기업이 국내 해상풍력 분야에 진출한 최초 사례다.

안덕근 산업부 장관은 "오늘 투자 신고식을 통해 우리나라 첨단산업과 에너지 분야 성장 잠재력에 대한 글로벌 기업들의 변치 않는 신뢰를 확인할 수 있었다"며 "이번 투자가 한미 첨단산업 공급망 협력과 에너지 안보 강화로 이어지도록 후속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