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중앙통신은 27일 "미사일총국은 26일 미사일 기술력 고도화 목표 달성에서 중대한 의미를 가지는 개별기동 전투부(탄두) 분리 및 유도조종시험을 성공적으로 진행했다"고 밝혔다.
앞서 북한은 2021년 1월 제8차 노동당 대회에서 "다탄두개별유도기술을 더욱 완성하기 위한 연구사업을 마감단계에서 진행하고 있다"고 발표한 바 있다. 다만 다탄두 미사일 시험이 보도된 건 이번이 처음이다.
MIRV는 통상 대륙간탄도미사일(ICBM)과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에 적용된다. 1단 및 2단 추진을 통해 대기권 진입한 뒤 정점 고도에서 탄두를 다발로 묶고 있는 후속추진체(PBV)가 목표 위치로 방향을 잡는다. 이후 하강하며 여러 개의 탄두가 분리되고, 일정한 유도기능에 따라 각각의 표적으로 날아가도록 하는 방식이다.
홍민 통일연구원 선임연구원은 "공개된 사진으로 볼 때 각 개발 탄두의 기둥, 기만체의 기능이 정상적으로 이뤄졌는지는 확인하기 어려우나 관련 실험은 충분하다"며 "궁극의 과업라고 할 수 있는 MIRV가 적용된 ICBM 및 SLBM을 미국 대선 전후로 발사해 핵무기 고도화의 불가역성을 각인시켜려고 할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그러나 북한의 주장을 둘러싼 의혹도 나온다. 장영근 항공대 교수는 "공개된 영상만으로는 대기권 밖에서 MIRV를 순차적으로 분리해 성공적인 대기권 재진입을 수행하고 원하는 표적을 타격했는지는 의문"이라며 "시험이 170~200km 반경 내에서 대기권 내에서 이루어진 것으로 추정되는데 아직 실제 ICBM에서 요구되는 고도에서 충분한 유도제어 능력을 갖춘 MIRV 시험을 모사한 것으로 보기 어렵다"고 설명했다.
즉, 170∼200㎞ 반경은 대기권 밖까지 상승했다가 개별 탄두를 분리하는 MIRV 기술을 실행하기에 너무 짧은 거리라는 것이다.
이어 장 교수는 "기본적으로 북한이 개발한 화성-17형 및 화성-18형 ICBM에 탑재할 MIRV 능력을 확보하기 위해 저고도에서 개발 중인 PBV의 유도제어시스템의 기술 능력을 검증하는 것이 1차적 목표로 보인다"고 진단했다.
우리 군도 유사한 입장이다. 이성준 합동참모본부 공보실장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기만과 과장을 위한 수단에 불과하다고 생각한다"며 "오늘 북한이 공개한 것은 2023년 3월 16일 발사한 화성-17형 액체연료 ICBM(대륙간탄도미사일)과 유사한 형태"라고 일축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