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10명 중 6명 핵무장 찬성…'대북제재로 北비핵화 견인 못해' 64%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김지윤 기자
입력 2024-06-27 21:42
    도구모음
  • AI 기사요약
  • * AI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맥락과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 전체를 보시길 권장합니다

    우리 국민 10명 중 6명이 독자 핵 보유에 찬성한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27일 나왔다.

    통일연구원이 이날 공개한 'KINU 통일의식조사 2024' 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북한이 핵을 포기하지 않는다면 우리도 핵무기를 보유해야 한다'는 주장에 66.0%가 찬성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번 핵무장 찬성률은 2021년 조사(71.3%) 이후 최고치다.

  • 글자크기 설정
  • 핵무장 찬성률, 2021년 조사 이후 최고치

  • 핵무기 보유 44.6% vs 주한미군 주둔 40.6%

북한 조선중앙통신은 김정은 국무위원장 지도하에 지난달 30일 초대형 방사포를 동원한 위력시위사격을 진행했다고 31일 밝혔다  사진연합뉴스
북한 조선중앙통신은 김정은 국무위원장 지도하에 지난달 30일 초대형 방사포를 동원한 '위력시위사격'을 진행했다고 31일 밝혔다. [사진=연합뉴스]
우리 국민 10명 중 6명이 독자 핵 보유에 찬성한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27일 나왔다.

통일연구원이 이날 공개한 'KINU 통일의식조사 2024' 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북한이 핵을 포기하지 않는다면 우리도 핵무기를 보유해야 한다'는 주장에 66.0%가 찬성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번 핵무장 찬성률은 2021년 조사(71.3%) 이후 최고치다. 

핵무기 보유 의견은 2014년 이래 점차 상승해 2021년 10월 조사에서 71.3%로 정점을 찍고 이후 2023년까지 그 비율이 감소했다. 그러다 이번 조사에서 다시 비율이 상승했다. 연구원은 2023년 핵보유에 대한 찬성 비율이 감소한 이유로 한미정상회담 합의가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했다. 

'우리 국방을 위해 주한미군 주둔과 핵무기 보유 중 양자택일해야 한다면 핵무기를 선택하겠다'는 비율은 44.6%로 주한미군 선호비율 40.6%보다 높게 조사됐다. 과거 조사에서는 모두 주한미군 주둔 응답이 더 높았는데 올해 조사에서 처음으로 핵무장 응답이 역전했다.

'국제사회의 경제 제재로 북한 비핵화를 달성할 수 있다'는 여론은 15.4%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64.3%는 '경제 제재 강화가 북한의 핵포기를 견인하지 못할 것'이라고 비관했다.

'북한이 핵·미사일을 외교적 수단으로만 활용할 뿐 남한을 실제로 공격하지는 않을 것'이라는 명제에 동의하는 비율은 31.3%였다. 2017년 조사 때 54.9%를 기록한 것에서 대폭 하락했다.

한편 이번 조사는 4월 18일부터 지난달 16일까지 전국 만 18세 이상 성인남녀 1001명을 대상으로 대면면접조사(PI) 방식으로 진행됐다. 이 기간은 북한과 러시아가 군사동맹을 복원하는 조약을 체결하기 전이다. 95% 신뢰수준에서 최대허용 표집오차는 ±3.1%포인트다.

통일연구원의 통일의식조사는 통일과 북한, 통일·대북정책, 북한이탈주민, 주변국에 관한 국민 인식 변화를 파악하고자 2014년 시작됐다. 매년 1~2차례 진행됐고, 이번 조사는 14회째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