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일 삼성전자는 올해 2분기 매출 74조원, 영업이익 10조4000억원의 잠정 실적을 발표했다. 전년 동기 대비 각각 23.31%, 1452.24% 증가한 수치다. 삼성전자의 분기 영업이익이 10조원을 넘은 것은 2022년 3분기(10조8520억원) 이후 7개 분기 만이다.
삼성전자의 실적은 반도체 부문이 견인한 것으로 분석된다. D램과 낸드플래시의 평균판매단가(ASP) 상승으로 메모리 반도체 실적이 시장 기대치보다 크게 개선된 것이 주효했다는 평가다. 특히 인공지능(AI) 시장 확대로 고부가 메모리 판매가 늘어난 것으로 보인다.
시장조사업체 트렌드포스에 따르면 올해 2분기 전체 D램과 낸드의 가격은 각각 13∼18%, 15∼20% 상승했다.
디스플레이는 애플 등 주력 고객사의 판매 호조로 7000억원 안팎의 영업이익을 낸 것으로 보인다. 영상디스플레이(VD)와 생활가전(DA) 사업부도 에어컨 성수기 효과 등으로 5000억∼7000억원 수준을 기록한 것으로 예상된다.
하반기도 반도체를 중심으로 호실적을 이어갈 것으로 전망된다. 3분기 영업이익 전망치는 전년 동기 대비 393.86% 급증한 12조181억원, 매출은 22.5% 증가한 82조5722억원으로 집계됐다.
메모리 반도체 업체들의 공격적인 고대역폭 메모리(HBM) 캐파(생산능력) 증설에 따른 범용 D램 공급 부족 현상이 심화하고 고용량 eSSD 수요가 증가하며 메모리 수익성 개선세가 이어질 것이라는 전망이다.
트렌드포스는 "전반적인 소비자 D램 시장은 공급 과잉이 지속되고 있지만, 3대 주요 공급업체(삼성전자·SK하이닉스·마이크론)는 HBM 생산량 압박으로 인해 가격을 인상할 의향이 분명하다"며 3분기 D램과 낸드 가격이 각각 8∼13%, 5∼10% 상승할 것으로 예상했다.
5세대 HBM인 HBM3E의 양산 가시화도 주목되고 있다. 삼성전자는 현재 HBM3E 8단과 12단 제품을 엔비디아를 비롯한 고객사에 납품하기 위한 품질 테스트를 진행 중이다. 지난 4일에는 전영현 삼성전자 DS부문장(부회장)이 취임 후 한 달여 만에 'HBM 개발팀' 신설을 골자로 하는 대대적인 조직 개편에 나서는 등 경쟁력 강화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가전 끌고 B2B 밀고"… LG전자, 역대 최대 2분기
이에 따라 올해 상반기 매출 42조7968억원, 영업이익 2조5315억원을 기록했다. 전년 동기 대비 각각 5.9%, 13% 올랐다. LG전자의 상반기 매출은 3년 연속 40조원을, 영업이익은 4년 연속 2조원을 상회했다.
이날 사업본부별 세부 실적을 공개하지는 않았지만, 캐시카우(현금창출원)인 생활가전 사업이 에어컨 판매 확대 등으로 호실적을 이끈 것으로 보인다. LG전자 측은 인공지능(AI)을 탑재한 휘센 스탠드 에어컨 6월 판매량은 전년 동기 대비 80% 이상 늘었다고 밝혔다.
TV 사업을 담당하는 HE사업본부의 경우 LCD 패널 등 원가 상승 요인이 이어졌으나, 유럽 등 선진 시장의 프리미엄 올레드 TV 판매가 점진적으로 회복 추세를 보이고 있다. 웹(web)OS 콘텐츠·서비스 사업도 실적 기여도를 높이고 있다.
전 세계 28개국에 3500개 이상의 채널을 무료로 제공하는 웹OS 대표 콘텐츠 'LG 채널' 사용자 수는 5000만명을 넘어섰다. LG전자는 웹OS 콘텐츠·서비스 사업 영역을 TV에서 IT,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등으로 확장하고 있다.
기업간거래(B2B) 사업도 꾸준한 성장을 이어가며 체질 변화를 견인하고 있다.
B2B 한 축인 전장사업은 일시적 전기차 수요 둔화에도 불구하고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전기차 구동부품 △차량용 램프 등 전기차와 내연기관차를 아우르는 균형 잡힌 포트폴리오와 그간 확보해 온 수주 물량을 기반으로 안정적 성장을 이어가고 있다.
AI가 산업의 변곡점으로 부상하면서 칠러(냉동기) 등을 앞세운 냉난방공조(HVAC) 사업도 AI 인프라에 해당하는 후방산업 영역에서 추가 성장기회가 열리고 있어 향후 전망도 긍정적이다.
최근에는 스마트홈 플랫폼 기업 앳홈 인수를 마무리하는 등 TV에 이어 생활가전 사업에서도 개인화, 서비스화 관점의 변화를 본격 추진하고 있다. 특히 가전 사업은 공간 솔루션 중심의 사업 패러다임 전환이나 고객을 배려하고 공감하는 '공감지능 가전' 확대에도 속도를 낸다는 방침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