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반기 첫 금통위, 신성환·장용성 '붉은 넥타이'…소수의견 낼까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서민지 기자
입력 2024-07-11 09:19
    도구모음
  • AI 기사요약
  • * AI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맥락과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 전체를 보시길 권장합니다

    11일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이하 금통위)에서 금통위원 몇 명이 금리 인하에 대한 의견을 개진할지 관심이 쏠리는 가운데 신성환·장용성 금통위원이 붉은 계열 넥타이를 매고 자리했다.

    기준금리 동결이 확실시되는 분위기 가운데 시장은 금리 인하를 주장하는 소수 의견 여부에 집중하고 있다.

    3.5% 동결 이후 금통위원 사이 '금리 인하' 소수의견이 나온 적은 없다.

  • 글자크기 설정
  • 하늘색 넥타이 맨 이창용 한은 총재

  • 유상대·황건일·김종화 푸른 계열 넥타이

사진한국은행
11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 회의실에서 금통위원들이 착석해 있다. [사진=한국은행]
11일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이하 금통위)에서 금통위원 몇 명이 금리 인하에 대한 의견을 개진할지 관심이 쏠리는 가운데 신성환·장용성 금통위원이 붉은 계열 넥타이를 매고 자리했다. 나머지 위원들은 주로 푸른 계열 넥타이를 착용했다. 불안한 환율과 급등하는 가계부채 속 기준금리 결정에 앞서 한은의 복잡한 속내를 보인 것 아니냐는 해석이 나온다. 

이날 서울 중구 한은 금통위 회의실에는 6명의 금통위원이 먼저 입장하고 오전 9시 정각에 하늘색 넥타이를 맨 이창용 한은 총재가 착석했다. 이 총재는 평소와 달리 별다른 발언을 하지 않았다. 신성환·장용성 의원은 붉은 계열의 넥타이를 맸고 유상대·황건일·김종화 위원은 푸른 계열의 넥타이를 착용했다. 이수형 위원은 검은 정장에 하늘색 브로치를 달았다.

통상 총재의 넥타이 색깔은 금리 결정 방향을 시사하는 시그널로 읽혀왔다. 과거엔 금통위 의장인 총재의 넥타이 색깔이 붉은색 계열이면 기준금리 '인상'으로, 푸른색 계열이면 '인하'나 '동결'로 해석됐다. 금통위원들이 이를 활용해 붉은 계열과 푸른 계열의 팽팽한 맞대결을 보여주며 통화정책 전환에 대한 복잡한 심경을 내비친 것으로 보인다.
 
사진서민지 기자
[사진=서민지 기자]
기준금리 동결이 확실시되는 분위기 가운데 시장은 금리 인하를 주장하는 소수 의견 여부에 집중하고 있다. 3.5% 동결 이후 금통위원 사이 '금리 인하' 소수의견이 나온 적은 없다. 다만 포워드 가이던스를 통해 지난 2월부터 금통위원 1명이 '3개월 내 인하 가능성'을 언급해 왔다. 시장은 신성환 위원 또는 황건일 위원으로 추정하고 있다. 이번 금통위에서 2명 이상이 소수 의견으로 금리 인하에 찬성하면 8월께 금리를 내릴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금리 인하 기대감을 높이는 주요인은 바로 물가다. 4~6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3개월 연속 2%대를 나타냈다. 특히 6월 소비자물가 상승률(2.4%)은 11개월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한은의 예상 경로대로 완만한 둔화 흐름을 이어갔다. 아직 한은의 목표 수준(2%)에는 이르지 못했지만 앞서 이 총재가 금리 인하 고려의 전제 조건으로 언급한 '하반기 2.3∼2.4% 흐름'에 근접한 수준이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11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 본관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에서 의사봉을 두드리고 있다 20240711사진사진공동취재단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11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 본관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에서 의사봉을 두드리고 있다. [사진=사진공동취재단]
이날 금통위는 불안한 환율과 가계대출 등을 고려해 기준금리를 현 수준에서 유지할 것으로 해석된다.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Fed)의 피벗(통화정책 전환) 시점이 여전히 불투명한 상황에서 한은이 앞서 금리를 내릴 명분이 부족한 상황이다.

원·달러 환율은 앞서 5월 중순 미국의 조기 금리 인하 기대가 약해지고 이란·이스라엘 무력 충돌까지 발생하자 약 17개월 만에 1400원대까지 뛴 이후 최근까지 1380원대 안팎에서 크게 떨어지지 않고 있다. 한국과 미국의 기준금리 격차는 2%로 이미 역대급으로 차이가 나는데 이 상황에서 선제적으로 금리 인하를 한다면 환율 변동성이 커질 뿐 아니라 자본 유출 위험이 있다.

들썩이는 가계대출과 부동산 가격도 한은이 인하를 머뭇거리는 이유다. 기준금리 인하를 단행하게 되면 금융 불안을 부추길 수 있다. 한국은행 통계에 따르면 은행권 6월 주택담보대출 증가 폭(6조3000억원)은 작년 8월(7조원) 이후 10개월 만에 가장 컸다. 올해 상반기 주택담보대출 누적 증가 규모(26조5000억원)는 2021년 상반기(30조4000억원) 이후 3년 내 최대 기록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