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맥락과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 전체를 보시길 권장합니다
5월 시중 통화량이 한 달 사이 0.02% 늘면서 12개월째 증가세를 이어갔다.
금전신탁의 경우 만기도래 신탁자금 일부가 장기 신탁상품으로 재예치되며 감소했고 요구불예금·수시입출식저축성예금은 투자대기자금이 정기예적금, 수익증권 등 여타 투자처로 이동하면서 감소했다.
이지선 한은 금융통계팀 과장은 "금리 인하 기대감이 일부 약화됐지만 하반기에는 금리를 인하할 것이라는 기대가 지속돼 금리 고점 인식이 있었다"며 "시중금리가 오르고 가상자산의 매력도가 떨어지면서 5월 통화량이 정기예·적금에 몰렸다"고 설명했다.
기사공유
글자크기 설정
한국은행 '5월 통화 및 유동성' 발표
5월 통화량 4014.1조…전월보다 0.9조↑
정기예적금 몰렸지만 투자대기자금 이동
[사진=픽사베이]
5월 시중 통화량이 한 달 사이 0.02% 늘면서 12개월째 증가세를 이어갔다. 금리 고점 인식과 은행의 대출자산 증가로 정기 예·적금에 통화량이 몰렸지만 국외·정부부문의 통화공급이 줄어든 영향이다.
14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4년 5월 통화 및 유동성'에 따르면 지난 4월 광의통화(M2·평균잔액 기준)는 4014조1000억원으로 전월보다 9000억원 증가했다. 통화량은 지난해 6월 이후 12개월 연속 증가세다. 전월 대비 통화량 증가율은 4월 0.4%에서 5월 0.02%로 축소됐다.
M2는 시중에 풀린 통화량을 표현할 때 사용되는 지표다. 현금·요구불예금·수시입출식 저축성예금을 포함하는 협의통화(M1)에 머니마켓펀드(MMF), 2년 미만 정기 예·적금, 수익증권, 양도성예금증서(CD), 환매조건부채권(RP) 등을 포함한 넓은 의미의 개념이다.
금융상품별로는 정기예·적금, 수익증권, 금융채가 한 달 사이 각 9조3000억원, 7조9000억원, 5조9000억원 증가했다. 반면 금전신탁(-7조7000억원), 요구불예금(-7조2000억원), 수시입출식 저축성예금(-6조3000억원)은 감소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