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맥락과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 전체를 보시길 권장합니다
올해 상반기 국내 전기버스 시장에서 국산 제품의 점유율이 60%에 육박한 것으로 집계됐다.
중국산 전기버스의 점유율(40.7%)보다 18.6%포인트 높은 것으로 상반기 기준 최근 4년간 가장 큰 격차다.
국산과 중국산 전기버스 점유율 격차는 2020년 30.6%포인트에서 2021년 18.4%포인트, 2022년 2.6%포인트, 지난해 11%포인트로 점차 줄어들다가 올해 들어 다시 격차가 벌어지고 있다.
기사공유
글자크기 설정
올해 상반기 국내 전기버스 시장에서 국산 제품의 점유율이 60%에 육박한 것으로 집계됐다.
17일 국토교통부와 한국자동차모빌리티산업협회에 따르면 지난 1∼6월 국내에 신규 등록된 전기버스는 1076대이며 이 중 국산 제품은 59.3%에 달하는 638대로 나타났다.
중국산 전기버스의 점유율(40.7%)보다 18.6%포인트 높은 것으로 상반기 기준 최근 4년간 가장 큰 격차다. 국산과 중국산 전기버스 점유율 격차는 2020년 30.6%포인트에서 2021년 18.4%포인트, 2022년 2.6%포인트, 지난해 11%포인트로 점차 줄어들다가 올해 들어 다시 격차가 벌어지고 있다.
2017년 중국산 전기버스가 수입되기 시작한 이후 국산 전기버스 비중은 점차 낮아졌다. 국산 전기버스의 점유율은 연간 기준 2020년 66.8%에서 2021년 62.2%, 2022년 58.2%로 감소하다가 지난해에는 45.9%에 그쳤다. 올 들어서 국산 전기버스는 본격적으로 점유율 회복세에 접어들며 지난 5월 73.7%, 6월 67.2%를 기록하기도 했다. 개편된 전기차 보조금 정책이 중국산 제품에 제동을 건 것으로 분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