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암예방협회가 제정한 ‘세계 두경부암의 날’(7월 27일)이 나흘 앞으로 다가왔다. 두경부란 눈·뇌·귀·식도를 제외한 구강·구인두·후두·하인두·비인두·갑상선·침샘 등을 통칭하는 말로, 이곳에서 발생하는 악성 종양을 총칭해 ‘두경부암’이라고 부른다.
특히 최근 들어 50대 미만 젊은층 사이에서 혀에 생기는 설암 발생 환자가 급증하고 있어 주의가 필요해 보인다. 설암은 구강 내 궤양으로 착각하기 쉬워 진단과 치료가 늦어지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주기적인 진료로 조기에 발견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는 게 의료계 조언이다.
23일 국가암등록사업 연례보고서에 따르면 최근 5년간 신규 두경부암 환자 수는 2017년 3만2147명에서 2021년 4만1460명으로 29% 증가했지만, 설암 환자는 2017년 748명에서 2021년 993명으로 33%나 늘었다. 환자 수가 적은 구순암(입술암)을 제외하면 설암 환자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두경부암 중 증가 폭이 매우 큰 편인 것으로 조사됐다.
혀는 음식 맛과 온도, 촉감을 감지하고 음식을 뭉쳐 삼킬 수 있게 돕는 근육질의 유연한 장기다. 입안에서 암이 생기는 흔한 부위 중 하나기도 하지만, 구강 내 궤양으로 착각하기 쉬워 진단과 치료가 늦어지는 경우가 많아 주의가 요구된다. 특히 혀에 생기는 설암은 비교적 젊은 층인 30세 이전 환자가 지속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한승훈 한림대동탄성심병원 이비인후과 교수는 “특이하게도 설암은 젊은 연령층에서 신규 환자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고 경고했다. 실제로 2021년 신규 설암 환자 중 20~30대가 80명으로 8%를 차지했다. 20~50대 신규 설암 환자는 46%로, 전체 환자의 절반에 육박하는 환자가 50대 이하였다.
한 교수는 “설암 초기 증상은 원형으로 하얗게 괴사가 일어나는 염증성 궤양, 두꺼운 백색 반점이 생기는 백색 백반증, 붉은 반점 등”이라며 “환자 절반 이상은 종양이 혀의 측면에서 발생하며, 초기에는 통증이 없을 수 있지만 종양이 혀 신경 주변까지 침습하면 심한 통증이 발생한다”고 설명했다.
문제는 설암은 초기 증상이 일반적인 구내염과 유사해 구분이 쉽지 않다는 것이다. 구내염은 과도한 스트레스나 피로로 면역력이 약해졌을 때, 물리적인 자극으로 상처가 나며 세균에 감염됐을 때나 자극적인 음식이나 알레르기 반응으로 생길 수 있다.
한 교수는 “구내염은 대부분 1~2주 이내에 자연적으로 치유되지만 이러한 증상이 3주 이상 없어지지 않거나 오히려 병변이 더 커진다면 설암을 의심해 봐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어 “설암은 구내염과 비교해 병변 범위가 넓고 출혈이나 통증이 지속될 수 있으며, 목 주변 림프절로 전이되기 쉬워 턱밑이나 목 옆부분에 단단하게 만져지는 종괴가 있는지 확인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설암으로 진단되면 영상검사 등으로 주변 조직의 침범 정도와 전이 여부를 평가해야 한다. 치료는 주로 종양 주변 정상조직을 포함해 병변을 완전히 절제하는 수술을 시행한다.
목 주변 림프절로 잘 전이되는데, 이 경우 병변 두께에 따라 목 주변 림프절들을 같이 절제하는 수술을 해야 한다. 혀의 절반 이상을 절제해야 할 경우 손목이나 허벅지의 피부와 근육을 이용한 재건술을 받는다. 수술 후에는 개인 상태에 따라 방사선 치료나 항암화학요법이 추가될 수 있다.
한 교수는 “설암은 치료가 까다로운 암이지만 초기에 발견하고 치료받으면 혀의 기능을 최대한 보존할 수 있다”며 “치료 시기를 놓치게 되면 암이 빠르게 전이돼 완치율이 떨어질 수밖에 없어 초기 증상을 잘 살피는 게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이어 “설암 예방을 위해서는 흡연과 음주를 줄이고 충치 및 치주질환 예방 등 철저한 구강위생 관리가 이루어져야 한다”고 설명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