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맥락과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 전체를 보시길 권장합니다
임태희 교육감이 파주 문산동초 전기차충전소를 방문(임의월담(任意越담): 과거 담을 넘어 민생을 알아보던 것처럼, 예고 없이 임의로 현장을 방문해 도움을 드린다는 의미)해 "학생 안전에 대한 조금의 우려도 없어질 때까지 학교 내 전기차충전소 설치를 중단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임 교육감은 "친환경자동차법에 따라 주차대수가 50대 이상인 학교는 전기차 충전 전용주차 공간과 충전시설을 의무적으로 설치해야 한다"면서 "하지만 전기차와 충전시설에 대한 확실한 안전장치가 마련되지 않은 상황에서, 학생 안전과 직결된 학교 안까지 의무 설치하게 하는 건 맞지 않는다"고 단언했다.
그러면서 "올해 상반기 경기도의회에서 학생 안전을 위해 '유치원·학교를 전기차 충전소 설치 의무 구역에서 제외'하는 조례 개정 노력이 있었지만, 보류가 된 상황이다"라고 설명했다.
기사공유
글자크기 설정
자신의 SNS 통해 "유치원·학교 전기차 충전소 설치 의무 구역에서 제외해야"
임태희 교육감이 파주 문산동초 전기차충전소를 방문(임의월담(任意越담): 과거 담을 넘어 민생을 알아보던 것처럼, 예고 없이 임의로 현장을 방문해 도움을 드린다는 의미)해 "학생 안전에 대한 조금의 우려도 없어질 때까지 학교 내 전기차충전소 설치를 중단하겠다"고 밝혔다.
임 교육감은 8일 자신의 사회관계망 서비스(SNS)를 통해 "전기차충전소가 학생 안전보다 우선일 수는 없다. 학교 내 전기차충전소 설치 의무는 지금 현실에 맞지 않는 제도이다"라며 이같이 말했다.
임 교육감은 글에서 "무더운 날씨 거미줄 친 야외 충전시설을 보면서, 이렇게 규정한 법은 개정되어야 마땅하다"고 주장했다.
이어 임 교육감은 "친환경자동차법에 따라 주차대수가 50대 이상인 학교는 전기차 충전 전용주차 공간과 충전시설을 의무적으로 설치해야 한다"면서 "하지만 전기차와 충전시설에 대한 확실한 안전장치가 마련되지 않은 상황에서, 학생 안전과 직결된 학교 안까지 의무 설치하게 하는 건 맞지 않는다"고 단언했다.
그러면서 "올해 상반기 경기도의회에서 학생 안전을 위해 ‘유치원·학교를 전기차 충전소 설치 의무 구역에서 제외’하는 조례 개정 노력이 있었지만, 보류가 된 상황이다"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