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일 시장조사기관 트렌드포스에 따르면 올해 2분기 글로벌 D램 매출은 229억 달러(약 31조원)로 전분기 대비 24.8% 증가했다.
트렌드포스는 "수익을 높인 메인스트림 제품의 출하량 확대로 매출이 상승했다"며 "D램 가격 상승, 재고 손실 충당금 환입, 생산능력 최대 활용 등으로 수익성도 유지할 수 있었다"고 분석했다.
업체별로 보면 지난 1분기 1위를 차지했던 삼성전자는 2분기에도 매출 98억 달러(약 13조4000억원)로 선두 자리를 수성했다. 다만 D램 시장 점유율은 43.9%에서 42.9%로 소폭 하락했다.
2위 SK하이닉스는 2분기 매출 79억 달러(약 10조8000억원)로, 전분기 대비 38.7% 증가했다. 이에 따라 SK하이닉스의 D램 시장 점유율은 31.1%에서 34.5%로, 3.4%포인트(p) 상승했다. 주요 D램 업체 중 2분기 시장 점유율이 전분기보다 상승한 곳은 SK하이닉스가 유일했다.
트렌드포스는 SK하이닉스가 5세대 제품인 HBM3E의 인증 및 대량 출하로 비트 출하량이 20% 이상 증가하면서 매출도 40%가량 늘어나는 등 성장한 것으로 분석했다.
마이크론도 비트 출하량이 15∼16% 증가하면서 2분기 매출 45억 달러(약 6조원)로, 전 분기 대비 14.1% 늘었지만 시장 점유율은 21.5%에서 19.6%로 축소됐다.
D램 가격 상승세는 3분기에도 이어질 전망이다. 트렌드포스는 "D램 제조업체들은 지난달 말 PC 업체, 클라우드 서비스공급자(CSP)와 3분기 계약 가격 협상을 마무리했다"며 "기대 이상의 결과를 얻은 것으로 보인다"고 예상했다. 그러면서 3분기 D램의 계약 가격 인상률을 기존 전망치보다 약 5%p 높인 8∼13%로 상향 조정했다.
한편 트렌드포스는 삼성전자가 현재 공장에서 HBM3E 웨이퍼를 생산하기 시작했다고 전했다. 트렌드포스는 "(엔비디아 품질 테스트 후) HBM3E를 적시에 출하하기 위한 것"이라며 "올해 하반기 DDR5 생산 일정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내다봤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DDR5보다 HBM 생산을 우선시하고 있다는 의미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