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일 한국 부동산원에 따르면 7월 첫째 주부터 8월 넷째 주까지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 누적 변동률이 1.99%에 이르는 것으로 집계됐다. 두 달간 2%에 육박하는 아파트 값 상승세는 주택 공급 부족 우려와 함께 집값 상승기에 '지금 사지 않으면 못 산다'는 수요가 폭발한 것으로 관측된다.
특히 당초 7월 시행 예정이던 2단계 스트레스 DSR이 9월로 미뤄지면서 대출 규제가 강화되기 전에 막차를 타려는 영끌족들이 시장을 밀어 올리는 등 영향을 끼쳤다는 분석이다.
국토교통부 '7월 주택통계'에서 7월 서울 아파트 매매거래(신고일 기준)가 9518건으로 전달에 비해 54.8%, 작년 동기 대비 150.2% 증가하고, 40대의 서울 아파트 매입 비중이 33.2%로 30대(31.5%)를 제친 것도 '정책 엇박자'가 수요자의 매수 심리를 자극한 것으로 관측된다.
8월 들어 은행들이 주택담보대출 금리를 수차례 높였지만 집값 상승세를 꺾지는 못했다.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이 7월 이후 22차례나 주담대 금리를 인상하면서 지난 7월 3% 초반이었던 평균 주담대 금리는 8월엔 4%대 초반까지 1%포인트가량 상승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