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연희동 싱크홀 사고 원인에 대해 성산로에 4개 관로가 매설된 데다 집중호우·폭염 등으로 지하 수위가 달라지는 등 4가지 복합적인 요인이 작용한 결과라고 분석했다.
시는 4일 '지반침하 대책 추진 관련 약식브리핑'에서 외부 전문가와 GPR탐사기를 동원해 사고 발생지 아래 매설된 하수관, 지하수위, 주변 진행 공사 등 현장 상황을 조사한 결과를 밝혔다.
시는 싱크홀 발생 원인을 △지형적 특성 △기상 영향 △지하매설물 △주변 공사장 영향 등 4가지 요인이 복합적으로 영향을 미쳤다고 봤다.
우선 사고 발생지인 성산로는 궁둥공원과 경의선 철도 사이 경사지 중간에 위치해 있어 지하수 흐름이 강하다. 또 잦은 관로 작업으로 지반이 상대적으로 불안정한 매립층이다.
7~8월에는 집중호우와 폭염이 반복돼 눈에 보이지 않는 지하수위 변동이 있었다. 지하수위가 급격히 변하면 지하 토사 유실에 영향을 미쳤을 수 있다.
성산로 아래에는 폐하수관과 함께 상수관·하수관·가스관·통신관 등 5개 관로가 매설돼 있었다. 정성국 재난안전실 도로기획관 공학박사는 "폐관로에 토사가 쌓인 걸 보니 지하 매설물이 지속적으로 토지대에 영향을 미쳤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사천 빗물펌프장 연결 관로 공사도 원인으로 추정된다. 도시기반시설본부에서 공사 중 토사 유출량을 조사한 결과 큰 영향을 미칠 정도는 아니지만, 전혀 영향이 없지는 않다고 설명했다. 시 관계자는 "GPR 탐사로 2m까지는 안전 확인이 가능하나 더 깊이 들어간 부분은 아직 현재 기술로는 장담할 수 없다"며 "GPR 탐사 장비에 한계가 있다. 고도화에 맞춰 계속해 장비에 대한 신기술을 파악하고 도입해 나갈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시는 연희동 사고 지역 일대를 '특별 점검' 대상지역으로 지정하고, 성산로(연희IC~사천교) 지하 매설물에 대한 전수 조사를 9월 안에 완료하여 해당 지역의 안전성을 재차 확인할 예정이다. 또 명확한 원인 파악을 위해 공사 구역 내 진동계와 지하수위계를 설치하고, 지반 시추를 통해 추가 조사를 진행할 계획이다.
시는 사고 방지 및 추가 피해 예방을 위해 '지반침하 사전 예방을 위한 개선안'을 마련했다.
우선 30년 이상 노후 상수도관 정비를 본격적으로 추진한다. 9월부터 모든 노후 하수관로에 대해 폐쇄회로(CC)TV가 장착된 내시경 카메라를 활용해 정밀 조사한다. 2015년부터 지난 1일까지 서울에서 발생한 지반침하 사고 222건의 원인 중 상·하수관로에 의한 사고가 64%를 차지한다.
굴착공사장(굴착깊이 10m 이상 또는 터널공사) 주변 점검도 강화한다. 월 1회 GPR 탐사를 준공된 지 1년 이내의 공사장까지 대상을 확대한다. 올해 기준 서울 시내 200여 개의 공사장이 대상이다.
GPR 장비의 성능 검증 기준을 강화하고, GPR 탐사의 사각지대를 해소할 수 있는 새로운 지반침하 예방 기술도 도입한다. 현재 기술로는 지하 2m까지 80~90% 이상의 정확도로 지하 공동을 찾아낼 수 있다. 지하 2m보다 깊은 경우 지반침하 이상 징후를 찾아내기 위해 새로운 기술을 도입해 보완한다는 계획이다.
지반침하 우려도를 과학적으로 분석하고 수치화하는 '지반침하 안전지도'도 올해 말까지 개발을 앞당긴다. 아울러 '지반침하 관측망' 설치에 대한 타당성 검토를 진행하고 있다. 이 시스템은 도로뿐만 아니라 공원, 주택가 등 다양한 지역의 지반 안정성을 관리하는 데에도 활용될 수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