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달 음식 시장 지난해 역성장
서울연합뉴스 강민지 기자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음식 서비스배달 음식 온라인 거래액은 26조4천억원으로 전년보다 06 줄었다 음식 서비스 관련 통계가 작성되기 시작한 2017년 이후 첫 감소다 사진은 13일 점심시간 서울 마포구의 한 식당가에 세워진 배달 오토바이 2024213
mjkangynacokr2024-02-13 143054
저작권자 ⓒ ㈜연합뉴스 무단 전재 재배포 금지 AI 학습 및 활용 금지저작권자 ⓒ ㈜연합뉴스 무단 전재 재배포 금지 AI 학습 및 활용 금지](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4/09/09/20240909084423871932.jpg)
9일 협회에 따르면, 지난 6일 서울 강서구 협회 회의실에서 '프랜차이즈 배달앱 사태 비상대책위원회 발족식'이 열렸다. 이날 발족식에는 정현식 협회장을 비롯해 비대위원장으로 선출된 나명석 협회 수석부회장과 10개 회원사 대표가 참석했다.
정 협회장은 "최근 현장의 배달 수수료 부담으로 물가 인상까지 촉발됐으나 배달앱 3사(배달의민족·쿠팡이츠·요기요)는 여전히 책임을 회피하는 데만 급급한 상황"이라며 "비대위를 통해 공정위 신고 등 법적 대응을 추진하는 등 실효성 있는 방안을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배민은 지난달 배민1플러스(배민배달) 중개수수료율을 9.8%로 기존보다 3%포인트 인상했다. 쿠팡이츠와 요기요의 중개수수료율 역시 각각 9.8%, 9.7%로 비슷하다.
비대위는 매달 전체 회의와 수시 분과별 회의를 열고 대응 방안 마련에 나설 방침이다. 나 비대위원장은 "배달앱 3사가 올해 무료배달 경쟁으로 인한 비용을 모두 가맹점에 전가했다"며 "이로 인해 배달 비중이 높은 치킨, 피자, 족발 등 관련 업계가 초토화했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