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배터리업계가 글로벌 이차전지 시장에서 우위를 점하기 위해선 정책적 뒷받침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왔다. 차세대 미래 산업으로 꼽히는 이차전지 산업은 ‘국가 대항전’으로 불릴 만큼 경쟁이 치열해 정부 차원의 대대적인 지원 없이는 성장세를 이어가기 힘들기 때문이다.
한국배터리산업협회는 11일 서울 영등포구 국회의원회관 제2소회의실에서 박성민 국민의힘 의원과 신영대 더불어민주당 의원 공동 주최로 개최한 22대 국회 ‘이차전지포럼’ 창립총회를 개최했다.
이날 세미나에는 국회와 정부 관계자들은 물론, 산업계에서도 LG에너지솔루션·삼성SDI·SK온 등 배터리 3사를 비롯해 포스코홀딩스, 롯데케미칼, 현대성우쏠라이트 등 소재·부품·장비(소부장) 기업 주요 관계자들이 대거 참석했다.
이날 현장에 모인 기업 관계자들은 “더 늦기 전에 기업들이 글로벌 이차전지 산업에서 글로벌 패권을 잡을 수 있도록 대대적인 지원에 나서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박진원 LG에너지솔루션 부사장은 “국내 이차전지 산업은 전기차 캐즘(일시적 수요 둔화)과 해외 경쟁사와의 치열한 경쟁으로 어려운 상황에 놓였다”며 “이차전지가 미래세대에도 큰 영향을 끼치는 만큼 위기를 극복하는데, 정부와 국회의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국내 배터리업계는 최근 세계 전기차·배터리 판매 둔화와 중국 기업의 선전으로 부상으로 새로운 변화를 모색해야 한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특히 중국 배터리는 자국 정부의 막강한 지원과 내수효과를 등에 업고, 세계 시장에서 국내 기업의 입지를 위협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차전지산업발전 특별법(가칭)이 추진돼야 한다는 점도 바로 이 때문이다. 현재 미국·유럽·중국 등은 배터리 산업에 전폭적인 지원을 하고 있지만, 한국은 이차전지 정의를 담은 법안이 마련돼 있지 않다.
김준형 포스코홀딩스 이차전지소재 총괄도 “최근 글로벌 이차전지 시장이 자국중심주의 확산되고 있어 국내 기업들ML 상황이 어려움에 있다”며 “이런 상황에서 이차전지 보조금 지급 등과 같은 국가 차원의 지원이 절실하다. 기업 혼자 할 수 없는 현안을 선제적으로 해결해 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해 신영대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이번 이차전지 포럼이 단순한 연구모임을 넘어 △혁신적 기술개발 촉진 △사용 후 배터리 관련 규제 완화 등의 현실적인 문제와 과제들을 해결할 수 있도록 국회 차원의 적극적 입법과 정책 제안을 이어 나갈 것”이라고 화답했다.
박태성 배터리협회 상근부회장도 “국회 이차전지 포럼이 국회 내 대표적인 산업포럼이 되도록 국회, 정부, 업계간의 가교 역할을 충실히 하겠다”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