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열에는 왼쪽부터 밥, 국 순으로 놓고 국 사이에 술잔을 놓는다. 추석에는 오른쪽 끝에 송편을 올리기도 하며, 밥과 국대신 설에는 떡국을 올리기도 한다.
2열에는 왼쪽부터 서쪽서부터 시작, 초간장과 육전(고기 부침), 소적(두부), 육 어 닭(봉), 생선 부침을 놓고 지낸다. 잘 모르겠으면 아동육서(어류는 동쪽, 생선은 서쪽)을 생각하면 된다.
3열에는 탕을 놓는 줄이다. 고기탕, 두부탕, 생선탕 순으로 올려야하며, 2열처럼 육류는 왼쪽, 어류는 오른쪽이다.
5열을 차리는 순서는 조율이시 순으로 차리면 된다. 또한 홍동백서도 여기에 사용된다. 이에 따라 대추, 밤, 배, 감 또는 대추, 밤, 감, 배 순으로 놓으면 된다. 이후 사과 귤 등을 오른쪽에 둔다.
한편, 귀신을 쫓는 힘이 있다고 하는 복숭아는 올리지 않고 고춧가루와 마늘도 같은 이유로 사용하지 않아야 한다. 또 붉은살 생선과 ‘치’자가 들어가는 생선은 피해야 한다.
지방 쓰는 방법은 4가지, 차례를 모시는 사람과 고인의 관계, 고인의 직위, 고인의 이름, 신위 등으로 나뉜다.
차례상에 올리는 지방은 일반적으로 폭 6㎝, 길이 22㎝의 한지(백지)에 붓을 이용해 작성한다. 한자로 쓰는 것이 전통이지만 최근에는 한글로 쓰기도 한다.
차례를 지낼 때 부모 한쪽이 생존해 있을 경우 한분만 쓰며 두 분 다 돌아가시면 같이 지내기 때문에 지방에 부모를 같이 쓴다. 위치는 남자가 왼쪽, 여자가 오른쪽에 쓴다. 한 분만 돌아가셨을 경우에는 중앙에 쓴다.
우선 제주와 관계에 따라 아버지는 상고할 고, 어머니는 죽은 어미 비, 할아버지는 조고, 할머니는 조비, 증조 이상에는 증 자와 고 자를 앞에 붙인다.
형은 현영, 형수는 현형수, 동생은 망제 또는 고제, 자식은 망자 또는 고자라고 써주면 된다.
또한 관계 뒤에는 직위를 적는다. 이는 벼슬을 지냈느냐에 따라 달라지는데 조상이 벼슬을 했다면 관계 뒤에 벼슬 이름을 쓰면 된다. 벼슬을 지내지 않았다면 남자 조상은 학생, 여자 조상은 유인이라 적는다.
고인의 이름은 남자조상의 경우는 모두 부군, 여자조상은 본관과 성씨를 쓴다. 자식이나 동생은 이름을 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