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기업에 적대적 인수합병(M&A)을 시도하는 사모펀드와 재계의 해묵은 경영권 대결 구도가 MBK파트너스의 고려아연 공개매수 사례로 전환점을 맞았다는 평가가 나온다. 과거 '악덕 기업사냥꾼과 잠재적 희생자' 간 대립이 현재는 '소액주주와 지배주주 간 지분·의결권 경쟁'으로 비화하고 있다는 것이다.
24일 산업계·금융투자업계에선 MBK파트너스의 고려아연 공개매수 사례가 사모펀드의 적대적 기업 M&A를 바라보는 시각이 변화하고 있음을 드러냈다는 평가가 나온다. 정부의 기업 밸류업 정책 기조와 맞물려 주주권 보호 인식이 부각되며 단순 투자를 넘어 기업의 경영 개선을 요구하는 행동주의에 비춰봐야 한다는 얘기다.
김춘 한국상장회사협의회 정책1본부장은 "과거에는 적대적 M&A 시도를 국내 시장과 외국 자본의 대결구도로 보곤 했는데, 행동주의 펀드 등 개념이 대중화하며 시장 인식에 변화가 생겼다"며 "일반 투자자들은 주가 상승 이벤트로 반기고 있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한 사모펀드운용사 관계자도 "기업 M&A 관련 여론 지형에서 주주의 권리를 강조하는 흐름이 나타난다"면서 "MBK파트너스가 '기업 거버넌스를 개선하겠다' '소액주주 권리를 대행하겠다'는 명분으로 적대적 M&A에 나선 것도 이 흐름과 무관하지 않다"고 했다.
증권가는 고려아연에 이어 지분 구조가 취약한 국내 기업이 적대적 M&A에 노출되는 사례가 더 나올 것으로 전망한다. M&A에 나선 사모펀드와 기존 경영진 간 '비전 경쟁'을 통해 주주를 설득하고 지분 우위로 경영권을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의견이 나온다. 과거처럼 외국 자본의 기간산업 기술 탈취, 국부 유출 위협으로만 바라봐선 안 된다는 것이다.
김 본부장은 "경영진에게 제기된 비리나 배임 의혹이 제대로 공시돼 왔는지, 현 경영진과 인수를 시도하는 쪽이 어떤 경영 비전을 가지고 있는지 등 기업 정보가 제공돼 투자자와 이해관계자를 설득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며 "해외 자본의 기업 M&A 시도를 애국심에 호소해 (반대하면서) 부정적으로 봐 왔는데 순수 국내 자본이라면 어떻게 볼지 고민할 때"라고 말했다.
재계 입장은 다르다. 지배주주 권한을 견제하는 장치는 강화됐는데 차등의결권, 황금주 등 경영권 방어 제도는 없다는 점을 지적한다.
재계 관계자는 "지금은 자사주 매입이나 '백기사'를 동원하는 등 우호지분을 통해 의결권을 많이 확보하는 것 외에 적대적 M&A 시도에 대항해 경영권을 보호할 방법이 없다"며 "소액주주를 등에 업었다 해도 M&A에 나선 사모펀드의 목적은 가치를 높여 재매각하는 것으로 경영권 방어를 위한 장치도 마련해 줘야 한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