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6일 서울 '제1차 국가AI위원회'에서 발표한 '국가 AI전략 정책방향'에서 이 같이 강조했다.
이날 정부는 '4대 AI 플래그십 프로젝트'를 추진하겠다고 밝히며 그 첫 순위로 국가 AI컴퓨팅 인프라를 대폭 확충하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과기정통부는 "현재 우리 산업·연구계는 AI 경쟁력의 근간인 AI 컴퓨팅 인프라가 빅테크 대비 절대적으로 부족한 상황"이라며 "향후 30년 AI 시대에 대비해 현재 보유한 최신 GPU 규모를 15배 이상 확충하겠다"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국산 AI 반도체 조기 상용화도 지원한다.
이를 위해 정부는 민·관 합작투자를 바탕으로 최대 2조원 규모의 '국가 AI 컴퓨팅 센터'를 구축하고 오는 2027년까지 저리 대출 프로그램을 통해 민간 AI 컴퓨팅 인프라 확충을 뒷받침한다. 이를 통해 민간의 지속적인 AI 컴퓨팅 인프라 투자를 촉진하고, 세계적 수준의 AI 컴퓨팅 인프라를 기업·연구자에게 제공할 계획이다. 추진 과정에서 신경망처리장치(NPU), 프로세스인메모리(PIM) 등 국산 AI 반도체를 도입해 국내 AI 컴퓨팅 생태계 육성에도 박차를 가한다. 글로벌 기업과의 협업과 실증을 통한 국산 AI 반도체 수출도 지원한다.
국가 전반의 AI 전환에도 적극 나선다. 구체적으로 오는 2030년까지 AI 도입률을 산업 70%, 공공 95%까지 끌어올린다는 방침이다. 이를 위해 먼저 제조·금융·의료바이오 등 AI 도입 효과가 높으나 AI 전환이 더딘 8대 산업별 AI 전환(AX) 대책을 수립·추진하고, 범정부 AI 공통 기반 구현 등을 통한 AI 활용 역량 강화로 안전·재난·보건 등 '공공 부문 18대 분야 국민 체감 AI 서비스'도 창출할 계획이다. 지역별 AI 혁신 거점을 구축하고, 군 AI 보안정책 수립과 국방 AI 인프라 확충 등에도 나선다. 정부는 이러한 AI 개선 작업을 통해 2026년 기준 총 310조원 규모의 경제효과를 창출해 나가겠다는 방침이다.
AI 안전성 확보에도 심혈을 기울인다. 딥페이크 범죄와 사이버 위협 등 AI로 인한 위험이 확대되는 가운데 정부는 오는 11월 설립되는 'AI 안전연구소', 현재 논의가 진행 중인 'AI 기본법'을 축으로 AI 발전과 안전·신뢰를 균형 있게 달성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AI 기본법에 대해서는 연내 제정토록 추진한다. 아울러 최근 미국 뉴욕에 설립된 '글로벌 AI 프론티어랩' 등 세계적 AI 국제공동연구 플랫폼을 구축하며, 글로벌 AI ODA 사업도 적극 추진해 글로벌 AI 리더십을 강화해 나가겠다는 계획이다.
이날 정부 차원에서 출범한 국가AI위원회는 이러한 정책과제 등을 구체화한 '국가 AI 전략'을 수립·이행해 나갈 계획이다. 국가AI위원회는 윤 대통령이 위원장, 염재호 태재대 총장이 부위원장을 맡고 총 30명의 민간 위원으로 구성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