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국감] 정부 "의료대란 없었다"는데 '응급실 뺑뺑이' 작년보다 40% 증가

  • 소방청, 5년간 추석 연휴 119 재이송 현황 제출

  • 184건→259건…'전문의 부재' 사유 48% 차지

1일 오전 서울 시내의 한 대학병원 응급실 앞에 진료 지연 안내문이 세워져 있다 사진연합뉴스
1일 오전 서울 시내의 한 대학병원 응급실 앞에 진료 지연 안내문이 세워져 있다. [사진=연합뉴스]

올해 추석 연휴 기간 이른바 '응급실 뺑뺑이' 사례가 지난해보다 40%가량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가 이번 추석 연휴 때 '의료 대란'이 없었다고 자평했지만, 오히려 응급실 뺑뺑이가 늘었다는 얘기다. 특히 의료 공백 사태가 장기화하면서 '전문의 부족'을 이유로 재이송된 경우가 절반 가까이를 차지했다.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소속 양부남 더불어민주당 의원(초선·광주서을)이 3일 소방청에서 받은 '최근 5년 추석 연휴 기간 119 재이송 현황'에 따르면 지난달 11일부터 25일까지 2주간 재이송 건수는 총 259건이었다. 

이 기간은 추석 연휴 전후를 포함해 정부가 의료 대란에 대비해 운영한 '비상응급 대응주간'이었지만, 오히려 지난해 같은 기간(9월 26일~10월 10일) 재이송된 184건보다 40% 증가했다. 

올해 추석 연휴 기간 재이송 건수를 회차별로 보면 구급대가 환자를 한 차례 다른 병원으로 이송한 사례는 240건이었다. 두 차례 재이송은 10건, 세 차례는 3건이었다. 네 차례나 재이송한 경우도 6건이나 됐다. 지난해는 3차나 4차 재이송이 한 건도 없었던 것과 비교하면 올해 크게 늘어난 셈이다. 

특히 환자 재이송 이유로 '전문의 부재'가 크게 늘었다. 올해 추석 연휴 기간 125건으로 재이송 가운데 48.2%를 차지했다. 의정 갈등에 따른 전공의 집단 사직으로 응급실 의료진이 부족해진 영향으로 보인다. 

양부남 의원은 "119 구급대로 환자가 실려오더라도 진료할 의료진이 없어 국민 피해는 눈덩이처럼 커지고 있다"며 "전문의 부족으로 인한 '응급실 뺑뺑이'를 해결할 실효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