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5일 서울 서초구 구룡산에서 바라본 도심 전경 사진유대길 기자 dbeorlf123ajunewscom](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4/10/07/20241007120811367451.jpg)
한국은행이 7일 공개한 자금순환(잠정) 통계에 따르면 가계 및 비영리단체의 올해 2분기 순자금 운용액은 41조2000억원으로, 전분기(77조6000억원)보다 36조4000억원 줄었다.
순자금 운용액은 각 경제주체의 해당 기간 자금 운용액에서 자금 조달액을 뺀 값으로 여유자금(여윳돈)의 증가분을 뜻한다. 보통 가계는 순자금 운용액이 양(+순운용)인 상태에서 여윳돈을 예금이나 투자 등을 통해 순자금 운용액이 대체로 음(-순조달)의 상태인 기업·정부에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김성준 경제통계국 자금순환팀 팀장은 "아파트 분양물량 확대, 주택 순취득 증가 등으로 여유자금이 줄어든 영향"이라고 설명했다.
![표한국은행](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4/10/07/20241007120840377397.png)
특히 예금과 같은 금융기관 예치금이 전분기(58조6000억원)보다 36조8000억원 쪼그라든 21조8000억원을 기록했다. 반대로 국내 지분증권 및 투자펀드 운용 규모는 2조9000억원에서 13조4000억원으로 뛰었다.
가계의 2분기 자금 조달액은 모두 14조6000억원으로, 1분기(1조4000억원)보다 13조원 이상 늘었다. 주택매매 증가와 함께 금융기관 차입(대출)이 -2조9000억원(대출 상환 우위)에서 14조5000억원으로 불어난 영향이 컸다.
김 팀장은 "주택담보대출 등 금융기관 차입금을 중심으로 조달 규모가 확대됐다"고 밝혔다. 실제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전국 주택 매매거래량은 1분기 13만1000호에서 2분기 17만1000호로 늘었다.
비금융 법인기업의 경우 2분기 순자금 조달 규모가 23조7000억원으로 3개월 새 22조원 가까이 늘었다. 기업 순이익은 축소됐지만 고정자산 투자가 늘어 금융기관 대출을 중심으로 기업의 자금 조달이 증가했다는 게 한은의 분석이다.
일반정부의 2분기 순조달 규모(1조1000억원)는 역대 최대 기록이었던 1분기(50조5000억원)와 비교해 급감했다. 1분기 급증한 지출이 줄어든 영향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