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연 캠페인의 새로운 패러다임 전환을 위해 결성된 서강대학교와 광운대학교 협동 연구팀이 ‘담배 유해성분 공개와 대국민 소통방안’을 주제로, 지난 8일 서울 종로구 포레스트 구구에서 담배 유해성분 공개와 관련한 대국민 알 권리 세미나를 개최했다.
대한민국 시장·군수·구청장협의회가 후원한 이번 세미나에서, 유현재 서강대학교 커뮤니케이션학부 교수는 △담배 유해성분 공개에 관한 대국민 인식조사 결과를 발표했고, 이종혁 광운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 교수는 △대국민 소통 차원에서 담배 유해성분 공개 시 편의점이나 흡연 공간에서 필요한 유해성분 표기 디자인을 제안했다.
이어진 토론에는 김희진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교수, 백혜진 한양대학교 광고홍보학과 교수, 박장선 서울 성동구청 구정연구기획단 혁신정책자문관, 이미정 서울 강남구청 공공디자인팀 팀장이 참여했다.
또한, 식약처의 독성정보 시스템인 ‘톡스인포(Tox-Info)’를 예로 들며, 담배의 유해성분 데이터베이스(DB)를 구축하는 것이 우선 과제라고 밝혔다.
이 과정에서 담배회사와 정부 당국이 측정한 성분 간 차이가 발생할 수 있어 대국민 정보 공개를 앞두고 진통이 예상되지만, 김 교수는 “필요할 때 국민들이 DB에 접속해 담배 성분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백 교수는 “금연 캠페인 초기부터 커뮤니케이션 전문가가 관여해 기존 전문가들과는 다른 섬세한 시각을 제공할 수 있는 체계가 마련되어야 한다“며, ”현재처럼 캠페인 마지막에 커뮤니케이션 전문가가 급히 투입되는 방식으로는 충분한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고 덧붙였다.
유 교수는 ”담배 유해성에 대한 주관적 지식 수준은 높지만, 정확한 지식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난 만큼, 지역사회 중심의 담배 유해성 교육 프로그램 확대가 필요하다“며, ”유해성분 목록을 정기적으로 업데이트하고 공개하는 소통 시스템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조사 결과, 응답자의 70.2%가 담배 성분 정보가 충분히 제공되어야 한다고 답했으며, 87.4%는 유해성분 공개를 의무화해야 한다고 응답했다. 흡연자의 80.5%는 유해성분 공개가 금연 의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답했고, 이 중 70.5%는 금연을 시도할 의향이 있다고 밝혔다. 유해성분 정보는 담뱃갑 표기, 대중매체 공지, 흡연부스 안내를 통해 제공되기를 원한다는 응답이 많았다.
성분표 디자인은 담배 유해성분과 그 함량을 정확하게 고지하고, 국민 조사에서 필요성이 제기된 대로 일반 담배와 전자담배의 성분을 명확하게 표기해 사용자가 이를 인식하고 세부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유도하기 위한 것이다.
향후 공개될 성분이 수십 가지 이상이 될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에서 관련 법 등을 고려해 WHO가 의무적으로 낮출 것을 권고한 1군 및 2군 발암물질 수치를 활용하여, △담배 종류별로 유해성분 확인이 가능한 종합 플랫폼으로 유도하는 중간 매개 정보 요소를 적용한 결과물이다.
성동구는 흡연 관련 지역사회 문제 해결을 위해 스마트 흡연 부스와 분리형 금연 픽토그램 등의 정책을 도입한 바 있으며, 강남구는 공공디자인을 통해 거리 간접흡연 문제 해결을 모색하고 있다.
이미정 강남구청 공공디자인팀장은 2022년 강남구 공공디자인 실험실 사업을 통해 건물 외벽과 도로변에 식재를 배치하여 숲에 있는 듯한 느낌을 연출한 결과, 흡연율이 80% 감소한 사례를 발표했다.
이 팀장은 “단순한 메시지 게시나 공간 변화만으로는 흡연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없다”며, “콘텐츠,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디자인 등 다각적이고 적극적인 접근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번 세미나는 담배에 포함된 유해성분 정보를 상세히 공개하고 국민의 알권리를 보장하는 제도의 취지와 정부의 의지를 반영하여, 커뮤니케이션 분야 연구자들이 주도적으로 마련한 자리라 주목을 받았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