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자동차보험 손해율이 상승하면서 내년 보험료 인상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손해율 상승 원인으로는 대규모 화재나 천재지변에 의한 피해 증가, 부품가격 상승이나 재고 부족에 따른 차량 수리비 인상 등이 거론된다. 보험업계는 최근 수년간 손해율이 하락하면서 보험료도 내리는 선순환 구조가 끊어질 수 있다고 우려한다.
이와 같은 추세면 올해 대형 손해보험사들이 자동차보험에서 손해를 보는 것은 불가피할 전망이다. 보험 손해율은 계약자들로부터 받은 보험료 수입 대비 보험료 지출 비중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보험은 손해율 80~82%보다 높으면 보험사들이 손실을 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대형 손해보험사들의 지난해 연말까지 누계 손해율 평균이 79.8%였다. 올해 자동차보험 손해율이 지난해보다 2~3%포인트 높게 유지돼 온 추세를 고려하면 올해 연간 손해율은 82~83% 수준에서 형성될 것으로 보인다.
손해율은 향후 보험료를 산정하는 데 중요한 지표가 된다. 손해율이 낮으면 보험료 인하의 근거가 되고, 반대로 손해율이 높으면 보험료 인상 요인으로 작용한다. 실제로 2020년 85%였던 대형 손해보험사 평균치 기준 자동차보험 손해율은 2021년 81%, 2022년 80.4%, 지난해 79.8%로 떨어졌다. 이 기간 보험료는 2022년 1.2~1.4%, 지난해 2.0~2.1%, 올해 2.5~3.0% 내렸다.
보험업계 관계자는 “보험 손해율이 떨어지고 그에 대한 선순환으로 보험료가 내리는 것은 보험사와 고객 모두에게 좋은 일”이라며 “자동차보험 손해율이 통상 연말로 갈수록 높아지는 것을 고려하면 다수 손해보험사들의 손실이 불가피하다”고 설명했다.
자동차보험 손해율 상승의 주요 원인으로는 △3년 연속 보험료 인하 △집중호우 빈발 △대규모 전기차 화재 등이 꼽힌다. 거둬들이는 보험료가 적어지다 보니 지난해와 같은 수준의 보험금 지출이 발생하면 손해율이 올라갈 수밖에 없다는 설명이다.
올해 장마 기간에 시간당 100㎜ 이상의 집중호우가 밤에 쏟아지는 경우가 많았고 지하주차장에서 발생한 화재로 인한 차량피해가 많았던 것도 손해율 상승으로 이어졌다. 더욱이 지난달 남부지방 폭우, 이달 초 공휴일 집중에 따른 행락객 증가 등도 손해율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침수·화재 등 사고 요인을 제외하면 자동차 고급화에 따른 부품가격 상승, 차량 부품 부족에 따른 수리 지연 등이 자동차보험 손해율 상승 압박으로 작용한다는 분석도 나온다. 수리비·렌트비 상승으로 보험금 지급 규모가 늘어나기 때문이다.
보험연구원이 최근 공개한 ‘자동차 부품비 증가의 영향과 개선 과제’ 보고서에 따르면 2006년부터 지난해까지 연평균 물가상승률은 2.3%였지만 대물배상·자기차량손해(자차) 사고당 손해액은 각각 연평균 5.4%, 4.7% 상승한 것으로 집계됐다. 또 최근 10년간 차량 수리비가 3.7% 증가하는 동안 부품비는 이보다 높은 4.5%의 증가율을 보였다.
보고서는 최근 자동차 부품 재고관리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는 점도 보험금 지출 확대로 이어진다고 지적했다. 부품 재고 부족으로 인해 차량수리가 지연되면서 수리비·렌트비 등이 늘어나기 때문이다. 보험금 지급 증가는 결국 보험료 인상으로 이어져 보험소비자들에게 피해가 전가될 가능성이 크다.
천지연 보험연구원 연구위원과 전용식 보험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이를 해결하기 위해 부품 의무공급 기간이 실제 부품 보유·재고관리로 이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실제로 부품의 의무공급 기간은 자동차관리법에 규정돼 있지만 재고관리는 관련 법에서 다뤄지지 않고 있다.
김필수 대림대 미래자동차학부 교수는 “자동차가 고가인 점을 고려하면 제조사는 수리용 부품을 철저히 준비한 상태에서 판매해야 한다”며 “사고율 등 데이터에 근거해 합리적인 재고관리가 이뤄질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3년 연속 하락한 車 보험 손해율, 올해 상승 전환…내년 보험료 오르나
15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올해 삼성화재·DB손해보험·현대해상·KB손해보험 등 대형 손해보험사들이 자동차보험에서 손해를 볼 가능성이 거론된다. 올해 들어 8월까지 대형 손해보험사들이 기록한 자동차보험 누계 손해율 평균은 80.4%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77.8%)보다 2.6%포인트 높은 수치다.이와 같은 추세면 올해 대형 손해보험사들이 자동차보험에서 손해를 보는 것은 불가피할 전망이다. 보험 손해율은 계약자들로부터 받은 보험료 수입 대비 보험료 지출 비중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보험은 손해율 80~82%보다 높으면 보험사들이 손실을 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대형 손해보험사들의 지난해 연말까지 누계 손해율 평균이 79.8%였다. 올해 자동차보험 손해율이 지난해보다 2~3%포인트 높게 유지돼 온 추세를 고려하면 올해 연간 손해율은 82~83% 수준에서 형성될 것으로 보인다.
손해율은 향후 보험료를 산정하는 데 중요한 지표가 된다. 손해율이 낮으면 보험료 인하의 근거가 되고, 반대로 손해율이 높으면 보험료 인상 요인으로 작용한다. 실제로 2020년 85%였던 대형 손해보험사 평균치 기준 자동차보험 손해율은 2021년 81%, 2022년 80.4%, 지난해 79.8%로 떨어졌다. 이 기간 보험료는 2022년 1.2~1.4%, 지난해 2.0~2.1%, 올해 2.5~3.0% 내렸다.
보험업계 관계자는 “보험 손해율이 떨어지고 그에 대한 선순환으로 보험료가 내리는 것은 보험사와 고객 모두에게 좋은 일”이라며 “자동차보험 손해율이 통상 연말로 갈수록 높아지는 것을 고려하면 다수 손해보험사들의 손실이 불가피하다”고 설명했다.
자동차보험 손해율 상승의 주요 원인으로는 △3년 연속 보험료 인하 △집중호우 빈발 △대규모 전기차 화재 등이 꼽힌다. 거둬들이는 보험료가 적어지다 보니 지난해와 같은 수준의 보험금 지출이 발생하면 손해율이 올라갈 수밖에 없다는 설명이다.
올해 장마 기간에 시간당 100㎜ 이상의 집중호우가 밤에 쏟아지는 경우가 많았고 지하주차장에서 발생한 화재로 인한 차량피해가 많았던 것도 손해율 상승으로 이어졌다. 더욱이 지난달 남부지방 폭우, 이달 초 공휴일 집중에 따른 행락객 증가 등도 손해율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車 부품 비싸지고 재고관리 안 돼…보험금 지급 확대
보험연구원이 최근 공개한 ‘자동차 부품비 증가의 영향과 개선 과제’ 보고서에 따르면 2006년부터 지난해까지 연평균 물가상승률은 2.3%였지만 대물배상·자기차량손해(자차) 사고당 손해액은 각각 연평균 5.4%, 4.7% 상승한 것으로 집계됐다. 또 최근 10년간 차량 수리비가 3.7% 증가하는 동안 부품비는 이보다 높은 4.5%의 증가율을 보였다.
보고서는 최근 자동차 부품 재고관리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는 점도 보험금 지출 확대로 이어진다고 지적했다. 부품 재고 부족으로 인해 차량수리가 지연되면서 수리비·렌트비 등이 늘어나기 때문이다. 보험금 지급 증가는 결국 보험료 인상으로 이어져 보험소비자들에게 피해가 전가될 가능성이 크다.
천지연 보험연구원 연구위원과 전용식 보험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이를 해결하기 위해 부품 의무공급 기간이 실제 부품 보유·재고관리로 이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실제로 부품의 의무공급 기간은 자동차관리법에 규정돼 있지만 재고관리는 관련 법에서 다뤄지지 않고 있다.
김필수 대림대 미래자동차학부 교수는 “자동차가 고가인 점을 고려하면 제조사는 수리용 부품을 철저히 준비한 상태에서 판매해야 한다”며 “사고율 등 데이터에 근거해 합리적인 재고관리가 이뤄질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