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수도권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 잔액이 50조원에 육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2금융권의 PF 사업장이 상대적으로 사업성이 떨어지는 비수도권에 몰려있어 관리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금융당국은 PF 사업장 정리가 미진한 저축은행들의 최고경영자(CEO)를 불러 적극적인 관리를 당부할 예정이다.
27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유동수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금융감독원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6월 말 기준 비수도권 PF 대출 잔액은 48조3000억원으로 수도권(82조1000억원)을 포함한 전체 잔액(130조4000억원)의 37%를 차지했다. 비수도권 PF 대출 연체율은 3.86%로 서울(2.93%), 경기(2.77%)에 비해 높았다. 지역별 연체율은 세종(22.03%)이 두 자릿수로 가장 높았고 제주(8.92%), 전남(7.4%) 순이었다.
전체 PF 잔액 중 2금융권이 차지하는 비중은 64%에 달해 부실이 크게 우려되는 상황이다. 특히 2금융권의 PF 사업장은 사업성이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비수도권에 위치해 있거나 빌라, 투자형 부동산에 대출을 내준 경우가 많다. 지난해 하반기 기준 나이스신용평가의 분석에 따르면 제2금융권 부동산 PF자산 중 수도권 아파트의 비중은 15.3%에 불과했다.
2금융권이 주로 취급하는 토지담보대출 잔액(비수도권)도 10조원을 넘었다. 비수도권 토담대 잔액은 10조1000억원으로 전체 토담대(약 24조원)의 42% 수준이다. 연체율은 15.33%로 수도권(13.89%)보다 1.44%포인트 높은 것으로 집계됐다. 지역별로는 전남이 28.06%로 가장 높았다. 2금융권이 보유한 부동산 자산은 브리지론 등 사업초기 대출과 중·후순위 채권 물량 비중이 높아 질적으로도 좋지 않다.
상황이 악화되자 금융당국은 2금융권에 부실 PF 사업장을 경·공매 등을 통해 재구조화 하라고 압박을 하고 있다. 금융감독원은 PF 사업장 정리가 부족한 저축은행 CEO를 다음 달 1일 소집한다. 금리인하기를 맞아 부동산 시장이 회복될 것으로 기대하는 일부 저축은행들이 부실 사업장 매각에 나서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금감원이 소집한 저축은행 중에는 웰컴저축은행, 한국투자저축은행, OK저축은행 등 대형 저축은행도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금감원은 일부 저축은행에 대해 현장 점검도 계획 중이다.
이복현 금감원장은 최근 한 방송에 출연해 "저축은행 업계에서 기대하는 향후 2~3배 부동산 가격이 뛰는 것은 어떤 정부가 되더라도 지금의 가계부채 수준이나 향후 경제성장 동력 측면에서 용인할 수 없다"며 "앞으로의 거시경제 상황에서 벌어질 수 없는 일"이라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