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에서 만든 애플의 아이폰 제품 수출이 작년보다 33% 급증했다. 미국·중국 긴장 악화 리스크를 피하기 위해 중국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려는 애플의 노력이 작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28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올해 4~9월 인도산 아이폰의 수출액은 60억 달러(약 8조310억원)를 기록했다. 이는 작년 동기 대비 33% 늘어난 수치다. 이런 추세가 지속된다면 올해 인도산 아이폰 수출액은 100억 달러(약 13조8470억원)를 넘어설 것으로 관측된다.
애플은 인도 정부가 주는 보조금과 숙련된 인력, 현지 기술력 발전 등에 힘입어 인도의 제조 기반을 빠르게 확장 중이다.
현재 인도 남부에는 대만의 폭스콘 테크놀로지와 페가트론, 인도 기업인 타타 일렉트로닉스 등 아이폰 제조공장 3곳이 가동되고 있다. 이 중 폭스콘 공장이 가장 커 인도산 아이폰 수출의 절반을 차지한다.
인도의 스마트폰 수출 대부분은 아이폰으로, 올해 회계연도 1~5월 28억8000만 달러어치를 미국으로 수출했다. 5년 전에는 인도의 연간 대미 스마트폰 수출액이 520만 달러에 불과했다.
인도 스마트폰 시장에서 애플의 점유율은 7%로 아직 작다. 샤오미, 오포, 비보 등 중국 브랜드가 장악하고 있다. 애플은 남부 중심지 방갈로르와 서부 도시 푸네 등에 새 매장도 개설할 계획이다.
한편, 인도네시아는 아이폰16의 자국 내 판매를 금지했다고 로이터통신이 이날 보도했다. 인도네시아 산업부는 공식 성명에서 애플의 현지 사업부를 언급하며 “애플 인도네시아가 ‘국내 부품 수준’ 인증을 얻기 위한 투자 약속을 아직 이행하지 않았기 때문에 국내에서 아이폰16을 판매할 수 없다”고 밝혔다. 아이폰16이 핸드셋과 태플릿의 인도네시아산 부품 사용 비율이 40%를 충족하지 못했다는 것이다.
인도네시아의 인구는 약 2억8000만명으로 애플에게도 거대한 시장이다. 산업부 통계에 따르면 인도네시아의 활성 휴대전화 수는 3억5400만대에 달하며, 이는 인구 수를 초과하는 규모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