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지방은행이 둔촌주공(올림픽파크포레온) 잔금대출을 취급하지 않기로 하면서 1금융권 공급액이 9500억원에 그치게 됐다. 필요할 것으로 예상되는 총 잔금대출 규모 5조~6조원에 크게 못 미치는 수준이다. 이에 2금융권으로 대출 수요가 쏠릴 수 있는 한편 가계대출 ‘풍선효과’가 더 커질 것이란 우려다.
12일 금융권에 따르면 경남은행을 비롯해 전북·광주·제주 등 주요 지방은행은 둔촌주공 잔금대출에 참여하지 않는다. 올해 시중은행으로 전환한 iM뱅크(구 대구은행)도 마찬가지다. 유일하게 부산은행은 아직 둔촌주공 잔금대출 참여를 검토 중이지만 연내에 대출을 공급할 가능성은 낮다. 앞서 둔촌주공 중도금대출에 참여했음에도 잔금대출을 쉽게 결정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통상 은행권에선 중도금대출을 취급했던 아파트에 대해 잔금대출도 공급하는 게 일반적이다. 둔촌주공 중도금대출을 취급했던 은행은 국민·하나·우리·농협·부산·수협은행 등 총 여섯 곳이다. 그 가운데 수협은행도 아직 잔금대출 참여 여부를 정하지 못했다. 조만간 결정을 내린다는 계획이다.
지방은행이 대출 확대 기회에도 둔촌주공 잔금대출을 취급하지 않는 건 가계대출 관리 때문이다. 올해 말까지 금융당국에 제출했던 연간 가계대출 증가 목표치를 맞춰야 하는데, 하반기 들어 주택담보대출 등 수요가 급증하며 오히려 가계대출을 축소해야 하는 상황이다. 당국은 목표치를 초과한 은행에 내년 더 낮은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관리 목표를 설정하기로 했다. 은행이 공급할 수 있는 대출 한도가 줄어드는 셈이다.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 모두 잔금대출에 나선다. 총 대출 한도는 9500억원으로 올해 공급액은 8500억원에 그친다. 신한은행은 내년부터 잔금대출을 취급하기 때문이다. 은행별 잔금대출 한도는 △국민 3000억원 △신한 1000억원 △하나 3000억원 △우리 500억원 △농협 2000억원 등이다.
그러나 둔촌주공 잔금대출에 필요한 자금이 총 5조~6조원가량으로 추산되면서 2금융권에 대한 풍선효과 확대가 점쳐지고 있다. 이미 지난달 2금융권 가계대출은 2조7000억원 늘며 1금융권 규제 강화에 따른 영향이 나타났다. 이에 당국은 앞서 지난 11일 2금융권을 소집하고, 연내 가계부채 관리계획 마련 등 압박에 들어갔다.
은행권은 둔촌주공에 대한 대출 공급이 내년 1월 풀릴 것으로 보고 있다. 연간 가계대출 한도가 다시 확보되기 때문이다. 이에 대출 한도를 늘리거나 새로 참여하는 은행이 나올 것이란 전망이다. 둔촌주공 입주 기간은 이달 27일부터 내년 3월까지다.
금융권 관계자는 “내년 1월이 되면 다시 가계대출 한도가 늘어나기 때문에 대부분 은행이 참여하지 않을까 싶다”며 “그럼에도 내년까지 가계대출 관리 강화 기조가 지속될지는 좀 더 지켜봐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