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래에셋자산운용은 글로벌 ETF 순자산이 총 200조원을 돌파했다고 11일 밝혔다. 2021년 100조원을 돌파한 후 3년여 만이다.
미래에셋자산운용은 한국과 미국, 캐나다, 호주, 일본 등 전 세계 13개 지역에서 ETF 624종을 운용 중(10일 기준)이다. 순자산은 총 202조원이며 전 세계 ETF 운용사 중 12위 규모다.
2006년 국내에서 ‘TIGER ETF’를 선보인 미래에셋자산운용은 2011년 국내 운용사 최초로 홍콩증권거래소에 ETF를 상장하며 본격적으로 글로벌 ETF 시장에 진출했다. 이후 박현주 미래에셋그룹 글로벌전략가(GSO) 회장은 2011년 캐나다 ‘호라이즌스 ETFs(글로벌 X 캐나다)’를 시작으로 2018년 미국 ‘글로벌 X’, 2022년 호주 ‘ETF 시큐리티스(글로벌 X 호주)’ ETF 운용사와 인수합병(M&A)을 추진하며 미래에셋자산운용을 글로벌 ETF 운용사로 성장시켰다.
미래에셋자산운용은 해외 현지 전문성을 강화하고 끊임없는 혁신을 통해 전 세계 ETF 시장에서 빠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미국 ‘글로벌 X’의 운용자산 규모는 인수 당시에 비해 현재 5배 이상 증가했으며, ‘글로벌 X 캐나다’는 인컴형 ETF를 중심으로 캐나다 4위 ETF 운용사로서 입지를 강화하고 있다.
관련기사

신흥국을 대표하는 인도 ETF 시장에서도 두드러진 성과를 만들어가고 있다. 인도는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외국계 운용사들이 모두 철수한 가운데 미래에셋자산운용은 유일하게 적극적인 현지화 전략 및 선제적 투자를 진행해왔다. 이를 통해 ETF 순자산 2조원을 돌파하는 등 인도 진출 16년 만에 현지 9위 운용사로 성장했다.
ETF 리서치 업체 ETFGI에 따르면 최근 3년간 연평균 미래에셋자산운용 인도법인 ETF 순자산 성장률은 61.1%로, 인도 전체 ETF 시장 성장률(23%)을 2배 이상 상회했다.
김영환 미래에셋자산운용 혁신·글로벌경영부문 총괄 대표(사장)는 "미래에셋그룹은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혁신을 추구하고 있다”며 “글로벌 ETF 플랫폼을 통해 투자자들에게 차별화된 상품과 투자 솔루션을 제공하고, 안정적인 노후 준비를 도울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