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 원장은 11일 서울 JW메리어트 호텔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예상하지 못했던 (정치적) 상황 변화가 우리 경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겠지만 과거 외환위기 수준일 가능성은 거의 없다고 말할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최근 변동성이 커진 주가, 환율과 관련해 그는 "금융시장에 변화가 그리 크지 않은 상황"이라며 "금융시장 변화는 상황이 바뀌면 굉장히 빠르게 회복되는 변수"라고 말했다.
탄핵 정국에 따른 불확실성이 외환위기로 번지는 것 아니냐는 우려에 대해서는 "과거에 탄핵을 겪었지만 외환시장이 흔들린 기억은 없다"며 "1997년 외환위기 이후 경상수지 흑자가 이어지고 있고 대외순자산이 국내총생산(GDP) 대비 50%가량 되는 만큼 유동성 위기를 겪는다는 것은 상상하기 어렵다"고 단언했다.
한국의 잠재성장률과 관련해서는 "공식적으로 2% 내외로 보이지만 하방 국면에 접어들었다는 것은 틀림없다"며 "앞으로 낮아질 수 있다는 방향성이 중요한 만큼 사회적 합의를 통한 구조개혁 과제 마련이 필요한 것"이라고 말했다.
시급한 정책 과제에 대해서는 "정책적 효과가 성장률에 반영되는 시점은 다르겠지만 교육 개혁은 지금 개혁해도 효과는 10~20년 뒤에 나타난다"며 "규제 개혁과 노동시장 개혁은 생산성 제고에 빠른 효과를 불러올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전망했다.
조 원장은 저성장 고착화에 따른 경제위기 지적에 "우리나라 수준 국가 중 잠재성장률이 2%를 넘을 것이라고 예상되는 국가는 거의 없다"며 "성장률이 1%로 고착된다 하더라도 그것을 경제위기로 표현하는 것이 맞는지 생각해야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내년 출범하는 트럼프 2기 대응책에 대해서는 "미국의 정책이 전 세계에 파급효과를 미치는 가운데 무역 비중이 높은 우리에게 관세 부분은 부담이 될 수 있다"며 "다만 미국에서는 중국과 관련해 지정학적인 가치가 높아진다고 판단할 측면이 있을 수 있다"고 내다봤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