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무역협회(KITA)는 19일 '신 통상질서에 대응한 일본의 전략' 보고서를 발간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일본의 대(對)미 무역흑자는 621억 달러(약 89조1880억원)를 기록했다. 일본은 트럼프 집권 이후 멕시코, 베트남, 우리나라 등과 함께 집중적인 견제가 예상되는 국가다. 관세 부과 등이 현실화 될 경우 대미 수출에서 35% 이상을 차지하는 자동차 산업이 가장 큰 타격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일본 자동차 산업의 미국 현지생산 비중은 2023년 기준 기준 12.5%로 우리나라(17.1%)에 비교해 낮아 관세인상 영향이 클 전망이다. IRA 폐지 및 축소 우려와 관련해서는 한국 자동차 업계에 리스크로 작용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왔다. 일본이 강점을 지닌 하이브리드 자동차 수요 증가를 기대할 수 있고 장기적으로 전기차 기술력 향상을 위한 시간을 확보하는 기회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최근 일본은 자국 산업경쟁력 강화에도 집중하고 있다. 반도체 보조금 확대 및 리쇼어링 지원을 통해 생산설비가 해외로 모두 이전되는 '산업 공동화' 방지에 나섰다. 또한 엔화 약세에 대응하기 위해 기준금리를 인상했다. 자재 수입 대처에 어려움을 겪는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한 수출 지원도 하고 있다.
일본 금리 인상과 우리나라 금리 인하가 맞물려 원화 대비 엔화가 강세가 나타나 우리 기업의 주의가 필요하다는 주장도 나왔다. 엔화 강세는 대일 수입단가 인상을 유발하는 만큼 수입의존도가 높은 소재·부품·장비 기업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이 클 수 있기 때문이다.
조의윤 무협 수석연구원은 "트럼프 집권 후 우리나라의 미국 내 자동차 생산 비중이 일본보다 높아 상대적으로 유리할 수 있지만 IRA 폐지에 대한 대비가 필요하다"면서 "중국 리스크를 낮추는 과정에서 아세안 및 인도에서 한·일 경쟁을 염두에 두고 정책지원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