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안공항 참사 원인 지목된 '버드스트라이크' 5년 새 620건...매년 증가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김윤섭 기자
입력 2024-12-29 15:02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2021년부터 매년 100건 넘는 사고 발생

  • 이착륙 때 1㎏ 새 충돌하면 5t 충격

사진연합뉴스
29일 전남 무안군 무안국제공항에서 발생한 제주항공 여객기 충돌 폭발 사고 현장에서 소방구급대원이 사고 여객기 내부를 수색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29일 전남 무안국제공항에서 일어난 제주항공 항공기 사고의 원인을 두고 '버드스트라이크(Bird Strike, 조류충돌)'가 언급되고 있는 가운데 지난 5년간 국내 공항에서 총 623건의 버드스트라이크가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날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전용기 의원이 인천국제공항공사와 한국공항공사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최근 5년 6개월(2019년~2024년 상반기) 동안 국내 공항에서 총 623건의 버드스트라이크가 발생했다.

연도별로는 △2019년 108건 △2020년 76건 △2021년 109건 △ 2022년 131건 △2023년 152건으로 매년 증가 추세를 보였다. 2024년 상반기에는 이미 47건이 보고됐으며, 이 추세가 이어질 경우 역대 최고치를 기록할 가능성이 크다.

올해 1월에도 청주공항과 인천공항에서 항공기 이착륙 중 버드스트라이크가 발생한 바 있다.

같은 기간 버드스트라이크로 인해 회항한 항공기도 7편 있었다. 인천공항에서는 지난 2월 6일 막 이륙해 17피트(약 5.2m) 떠오른 항공기 엔진과 착륙기어에 새가 날아들면서, 6월 24일에는 이륙을 위해 활주로를 달리던 항공기 전면에 새가 부딪히면서 회항하는 일이 있었다.

'버드스트라이크'는 항공기 이·착륙 혹은 순항 중 새가 동체나 엔진 등에 부딪히는 현상이다. 움직이는 항공기에 새가 충돌할 때 큰 충격이 가해지는데, 시속 370㎞로 상승하는 항공기에 900g의 청둥오리 한 마리가 충돌할 때 항공기가 받는 순간 충격은 4.8t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새가 항공기 엔진으로 빨려 들어가는 경우에는 화재 등 대형 사고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 특히 우리나라 공항은 강가나 해변에 자리 잡은 곳이 많아 새들이 몰려들어 충돌할 가능성이 더 크다는 평가다.

최근에는 기후 변화 영향에 따른 철새의 텃새화, 출몰 시기와 출몰 조류종의 변화 등으로 인해 버드스트라이크 사고가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또 공항 주변으로 쓰레기 매립지와 습지 등이 조성되면서 조류의 서식지 기능을 하는 점도 원인으로 꼽힌다.

인천공항 등 전국 공항은 이 같은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다양한 활동을 해오고 있지만 사고를 100% 예방하기에는 역부족인 상황이다.

전문용역업체와 계약을 맺거나 전담 인원을 투입해 조류 서식 환경을 관리하고, 총포·폭음경보기, 음파퇴치기 등을 활용하고 있다. 공군의 경우 전국 기지별로 운항관제반에 조류 퇴치팀을 운영하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