뿐만 아니라, 음·양압장비를 탑재해 감염병 환자를 더욱 안전하게 보호하는 한편, 감염병 확산 또한 방지할 수 있게 했다.
개선형구급차 내부 [사진=국방부]
오염된 외부공기 유입이 차단돼 화생방 위험지역에서도 환자를 보호할 수 있고, 자체 발전능력을 갖춰 전원이 공급되지 않은 상황에도 의무 장비와 냉난방 장치를 2시간 이상 가동이 가능하다.
주행 안정성이 개선되고, 응급처치와 감염병 대응 능력이 향상된 개선형구급차는 일반 구급차에 비해 더욱 다양한 상황과 지역에서 운용이 가능하다. 군에서는 2026년부터 전력화를 시작할 예정이며, 향후 해외 수출 가능성도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국기연 전력지원체계연구센터장 전상배 책임은 “개선형 구급차는 국내 최신 의료장비를 탑재해 응급환자의 후송과 응급처치가 가능하도록 개발함으로써 군의 전력 강화에 크게 기여한 것에 개발 의미가 있다”며 “앞으로도 국방부와 협력해 그 밖의 다양한 군수품을 지속적으로 연구개발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엄은성 국방부 국방연구개발총괄과장은 “국방부는 산업통상자원부와 긴밀하게 협조해 민과 군이 함께 활용이 가능한 군수품을 지속적으로 개발 확대해 나갈 것이며, 군에 후속 전력화뿐만 아니라 민간에 확대 적용과 수출을 통해 산업적 파급력이 확산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