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원 현대경제연구원 경제연구실장은 15일 서울 여의도 중소기업중앙회에서 열린 ‘트럼프 2기 출범에 따른 산업별 대응방안 세미나’에서 미·중 경제전쟁 지속에 따른 교역 부진, 미국과 중국의 경기 하강 가능성을 올해 가장 큰 리스크로 꼽으며 이같이 밝혔다.
이번 세미나는 올해 글로벌 경제의 불확실성이 지속되고 20일 도널드 트럼프 제2기 행정부 출범 이후 보호무역주의 정책이 강화될 것으로 예상되는 있는 상황에서 국내 중소기업의 대응방안을 모색하고자 마련됐다.
주 실장은 ‘2025 대외 경제 환경 변화와 한국 경제 전망’을 주제로 한 발표에서 “트럼프 통상정책의 목표는 미국 무역적자 개선”이라며 “트럼프가 주장한 관세 인상(대중국 60%·글로벌 보편 관세 10%)이 현실화되면, 한국 수출은 약 143억 달러(20조8900억원)에서 191억 달러(27조9000억원)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2023년 기준 미국의 대중 수출 규모는 1478억 달러, 중국의 대미 수출 규모는 4272억 달러에 육박한다.
한국 경제의 소비 침체 장기화에 대해선 “현실적으로는 정책적 도움을 받지 못해 내수 침체가 이어지는 가운데, 향후 수출 경기마저 둔화되면서 최악의 시나리오인 ‘L’자형 장기 침체 국면이 이어질 가능성이 유력하다”고 말했다.
이어진 발표에서 오선주 삼일PwC 수석연구위원 역시 트럼프 2기 출범 후 관세전쟁에 대한 우려감을 나타냈다.
오 연구위원은 “주요국 간 관세전쟁 격화 시 글로벌 무역량 감소로 이어져 수출 위주의 한국 경제에 타격이 불가피하다”며 “미국이 중국에 대한 강력한 제재와 더불어 멕시코·베트남·한국도 교역조건 재협상 대상국에 포함할 가능성이 크다”고 전망했다.
또한 중국이 배제된 공급망 개편으로 인한 생산 원가 상승과 중국의 제3국 우회 및 저가 수출(디플레이션 수출)도 리스크로 꼽았다. 오 위원은 “중소기업의 경우 대중국 중간재 의존도가 높고 대외 리스크에 취약해 큰 타격을 입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탈중국 후 새롭게 형성된 공급망도 위협받을 수 있다”고 말했다.
발표자들은 트럼프 2.0에 따른 국내 산업별 영향을 분석한 결과, 기계, 철강, 반도체, 자동차, 2차전지 산업이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입을 모았다.
반면 AI, 우주·방산, 바이오, 화학, 조선 산업에는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내다봤다.
오 위원은 “공급망 리스크 재발 방지를 위해 실시간 모니터링 및 생산기지 다변화가 시급하다”며 “새로운 글로벌 경제 질서 개편 흐름에 올라탈 수 있도록 국가적 전략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