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주요 은행의 수장들을 불러 모으자 은행권은 당혹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금융당국은 별다른 반응 없이 침묵을 지켰다. 금융권이 자칫 불안정한 정국의 소용돌이에 휘말릴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20일 민주당과 금융권의 간담회 이후 은행권은 정치권과 금융당국의 눈치를 살피느라 분주한 모습이다. 야당이 독자적으로 은행장들을 불러 현안을 논의하는 게 상당히 이례적인 일이기 때문이다. 국제 경쟁력 강화를 비롯한 국내 금융산업의 성장 방안은 주로 정부나 여당 측에서 고민하던 주제였다.
정치권이 불안정한 상황에서 괜한 은행권이 희생양이 됐다는 볼멘소리도 나온다. 이날 직접적으로 상생금융이 다뤄지지는 않았지만 간담회 주제가 민생경제 회복이었던 만큼 추가 상생금융의 압박을 받을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은행권은 앞서 지난해 말 3년간 2조1000억원 규모의 상생금융안을 발표했다.
은행권 관계자는 “행정권 없는 야당이 독자적으로 은행장을 소집해 민생경제 회복을 비롯한 현안을 논의하는 것을 어떻게 해석해야 할지 당황스럽다”며 “굳이 행장들을 부를 이유가 없는 것 같아서 숨은 의도를 파악해야 하는지 고민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번 간담회와 관련해 금융당국은 침묵을 지키고 있다. 어떤 메시지를 내더라도 정치 이슈에 스스로 뛰어드는 모양새가 연출될 수 있고, 최근 대내외 금융시장 상황에 대응하는 데 역량을 집중하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더욱이 20일(현지시간) 트럼프 행정부 출범을 목전에 둔 만큼 금융시장 동향 모니터링을 강화하는 데 더욱 신경쓰는 모양새다.
은행 외에도 금융권 전반에서 야당의 행보에 의문을 제기한다. 일각에서는 민생경제 회복에 동참하자는 압박이 보험업권을 비롯한 타업권으로 확대될 가능성에 대한 우려도 나온다. 최근 호실적을 이어온 보험업권은 작년에도 자동차보험료 인하, 보험료 납입 유예 등 대규모 상생금융에 나선 바 있다.
보험업계 관계자는 “예상됐던 것과는 달리 직접적인 상생금융 압박이 없어서 다행이지만 정치권 메시지를 계속 예의 주시하고 있다”면서도 “보험업계는 은행과 달리 실질적으로는 힘든 시기를 보내고 있어 추가적인 상생 요구가 온다면 버거울 것”이라고 설명했다.
금융권에서는 비상계엄 사태와 대통령 탄핵·구속이라는 초유의 사태에 금융시장 안정을 유지하는 것만으로도 버겁다는 불만이 나온다. 현재 상황에 정치권의 외풍까지 불어온다면 시장 혼란이 가중될 것이란 지적이다.
이처럼 야당의 행보와 관련해 금융권 전반에서 부정적인 반응이 나오고 있지만 금융권 안팎에서는 은행들이 정치권의 직간접적인 요청을 거절하기 어려울 것이란 의견이 우세하다. 조기 대선이나 정권교체 등 경우의 수를 고려해야 하기 때문이다. 더욱이 은행법 개정안이나 횡재세 논의 등이 은행권에 불리한 방향으로 재점화할 수 있다는 우려도 적당한 선에서 타협이 이뤄지지 않겠냐는 분석에 힘을 보탠다.
20일 민주당과 금융권의 간담회 이후 은행권은 정치권과 금융당국의 눈치를 살피느라 분주한 모습이다. 야당이 독자적으로 은행장들을 불러 현안을 논의하는 게 상당히 이례적인 일이기 때문이다. 국제 경쟁력 강화를 비롯한 국내 금융산업의 성장 방안은 주로 정부나 여당 측에서 고민하던 주제였다.
정치권이 불안정한 상황에서 괜한 은행권이 희생양이 됐다는 볼멘소리도 나온다. 이날 직접적으로 상생금융이 다뤄지지는 않았지만 간담회 주제가 민생경제 회복이었던 만큼 추가 상생금융의 압박을 받을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은행권은 앞서 지난해 말 3년간 2조1000억원 규모의 상생금융안을 발표했다.
은행권 관계자는 “행정권 없는 야당이 독자적으로 은행장을 소집해 민생경제 회복을 비롯한 현안을 논의하는 것을 어떻게 해석해야 할지 당황스럽다”며 “굳이 행장들을 부를 이유가 없는 것 같아서 숨은 의도를 파악해야 하는지 고민하고 있다”고 말했다.
은행 외에도 금융권 전반에서 야당의 행보에 의문을 제기한다. 일각에서는 민생경제 회복에 동참하자는 압박이 보험업권을 비롯한 타업권으로 확대될 가능성에 대한 우려도 나온다. 최근 호실적을 이어온 보험업권은 작년에도 자동차보험료 인하, 보험료 납입 유예 등 대규모 상생금융에 나선 바 있다.
보험업계 관계자는 “예상됐던 것과는 달리 직접적인 상생금융 압박이 없어서 다행이지만 정치권 메시지를 계속 예의 주시하고 있다”면서도 “보험업계는 은행과 달리 실질적으로는 힘든 시기를 보내고 있어 추가적인 상생 요구가 온다면 버거울 것”이라고 설명했다.
금융권에서는 비상계엄 사태와 대통령 탄핵·구속이라는 초유의 사태에 금융시장 안정을 유지하는 것만으로도 버겁다는 불만이 나온다. 현재 상황에 정치권의 외풍까지 불어온다면 시장 혼란이 가중될 것이란 지적이다.
이처럼 야당의 행보와 관련해 금융권 전반에서 부정적인 반응이 나오고 있지만 금융권 안팎에서는 은행들이 정치권의 직간접적인 요청을 거절하기 어려울 것이란 의견이 우세하다. 조기 대선이나 정권교체 등 경우의 수를 고려해야 하기 때문이다. 더욱이 은행법 개정안이나 횡재세 논의 등이 은행권에 불리한 방향으로 재점화할 수 있다는 우려도 적당한 선에서 타협이 이뤄지지 않겠냐는 분석에 힘을 보탠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