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해상풍력 시장은 지난해 경쟁입찰에서 1.9GW가 선정되는 등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사업별 규모도 평균 300MW를 초과하며 대형화되고 있다.
발전공기업 등은 신·재생에너지 공급의무화(RPS) 제도에 따라 일정수준 이상의 재생에너지 공급의무를 이행해야 한다. 하지만 대규모 해상풍력 사업은 자본 조달 능력과 개발 경험이 요구돼 공공의 의무이행 촉진을 위한 경쟁력 강화가 필요한 상황이다.
정부는 지난해 8월 '해상풍력 경쟁입찰 로드맵'을 통해 공공이 주도하는 별도 입찰 경로를 올해 추가하기로 한 바 있다. 이날 간담회에서는 지난 입찰 결과를 토대로 공공주도형 입찰 추진 방향에 대해 논의했다.
또한 해상풍력 설치선(WTIV)은 해상풍력 건설, 유지·관리를 위한 핵심 인프라로서 해상풍력 보급 확대에 대비해 대형 설치선이 적기에 충분히 공급돼 운영될 수 있도록 추진 동향에 대해서 논의했고 산업·수출 경쟁력 확보를 위한 지원방안 등을 모색해 나가기로 했다.
최남호 2차관은 "에너지 안보 강화와 미래 에너지 시장 선점을 위해 공공이 재생에너지 확대에 역할과 책임을 다해야 한다"며 "지속가능한 무탄소에너지 확산을 위해서는 풍력 개발·제조 경쟁력과 함께 선박·항만 등 인프라를 아우르는 산업생태계가 구축돼야 한다"고 강조하였다.
한편 산업부는 '해상풍력 경쟁입찰 로드맵'에 따라 올해부터 상반기 중에 경쟁입찰을 시행하기로 했으며 제도 개선 등을 거쳐 2025년도 풍력 경쟁입찰 공고를 추진할 계획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