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최근 국민의힘에 역전 당한 당 지지율에 대해 "국민 뜻이니 겸허하게 수용할 수 밖에 없다"며 "더 낮은 자세로 겸허하게 책임감을 갖고 임하는 것이 민주당이 할 일"이라고 밝혔다. 조기 대선과 관련해선 "내란 사태 극복에 중심을 둬야 할 시점으로 구체적으로 검토하고 있지 않다"면서도 '성장'과 '실용주의'를 강조하며 차기 대권 주자로서의 면모를 부각시켰다.
이 대표는 23일 국회에서 신년 기자회견을 열고 "윤석열 대통령 체포·구속이 되고 탄핵 심판이 순조롭게 이뤄진다고 보는 국민이 이제 민주당에 더 큰 책임과 역할을 요구하고 기대한다는 것"이라며 지지율 하락 원인을 분석했다. 최근 여론조사에서는 국민의힘 지지율이 민주당 지지율을 오차 범위 내에서 앞서는 역전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당의 여론조사 조작 여부 검증 등 행보에 대해선 "우리 예측과 벗어나고 있는데 어떤 부족함이 있는지, 국민 기대치가 어떻게 변화하는지 알아보자는 것"이라며 "민주당에 대한 기대가 높아졌거나 요구 수준이 달라졌을 가능성이 있다. 그에 맞춰 우리 역할을 재정립해야 하지 않겠나"라고 설명했다.
'일극 체제'를 성찰해야 한다는 지적에는 "다양한 목소리가 있는 것은 바람직하다"며 "이를 일극 체제라고 할지 아니면 당이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있다고 할지는 보는 입장에 따라 다르다"고 반박했다. 그는 "국민의힘이 분열하고 내부적 갈등이 격화돼 있는데 그 것도 하나의 정치적 현상일 수 있고, 시각에 따라 다를 수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국회를 통과한 법안에 재의요구권을 행사하고, 마은혁 헌법재판관 후보자를 임명하지 않는 것에는 강하게 비판했다. 그는 "최 권한대행의 권한 행사 기준이 멋대로"라며 "본인에게 유리한 권한을 함부로 행사해 거부권을 남발하는 등 철저하게 내란 소요 세력을 옹호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경제가 매우 심각하다고 말하면서 경제 안정을 위한 필요한 조치는 하지 않고 오히려 해치는 일을 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국민의힘을 향해서도 "극단적 단기 이익에 매몰돼 극우적 행태를 보이고 있다"며 "내란 세력을 사실상 비호하는 태도가 과연 적절한 처신인가. 극우적 극단주의 행태로는 대한민국 정치를 책임질 수 없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는 또 '조기 대선 가능성이 커지는 상황에서 정치 보복을 하지 않겠다고 선언할 의향이 있나'라는 질문에 "정치 보복은 절대 안된다"며 "국민 통합을 위해서라도 이런 단어조차 없어져야 한다"고 답했다. 정치권에서 거론되는 개헌과 관련해서는 "지금은 내란 극복에 집중할 때"라고 선을 그었다.
한편 그는 모두 발언에서 "기업이 앞장서고 국가가 뒷받침해 다시 성장의 길을 열어야 한다", "트럼프 정부를 맞아 한미 동맹 강화가 중요해졌다"고 강조했다. 이는 범야권의 유력한 차기 대권 주자로서 국가 성장을 위한 실용주의를 표방하며 중도층 흡수를 꾀하는 소위 '우클릭' 행보로 풀이된다.
그는 "정부가 모든 것을 결정하는 시대에서 '민간 주도 정부 지원' 시대로 전환해야 한다"며 "민간의 전문성과 창의성을 존중하고, 기업 활동 장애를 최소화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 "올해를 'K-디스카운트'가 해소되는 원년으로 만들어야 한다"며 "주식 시장도 투명하고 신뢰 가능한 선진 시스템을 갖춰야 한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효율적 경영을 방해하는 비정상적 지배 경영 구조를 혁신하고 뚜렷한 경제 산업 비전을 제시해야 한다"며 "주식 시장 선진화와 활성화가 국민을 부자로 만드는 가장 쉬운 길"이라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이념과 진영이 밥 먹여주지 않는다. 탈이념·탈진영의 현실적 실용주의가 위기 극복과 성장 발전의 동력"이라며 "위기와 혼란을 극복하고 변화를 통해 새로운 질서와 기회를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