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권위원장 "러·우 전쟁 생포 북한군 영상, 무분별 확산 우려"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11일현지시간 우크라이나군이 러시아 서부 쿠르스크 지역에서 북한 군인 2명을 생포했다고 밝혔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이날 텔레그램 채널에 글을 올려 생포된 북한 병사 2명이 다친 상태로 키이우로 이송됐으며 우크라이나 보안국SBU의 심문을 받고 있다고 전했다
    사진은 생포 당시 북한군 병사가 지니고 있던 신분증 2025112 젤렌스키 엑스 캡처 재판매 및 DB 금지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11일(현지시간) 우크라이나군이 러시아 서부 쿠르스크 지역에서 북한 군인 2명을 생포했다고 밝혔다. 사진은 생포 당시 북한군 병사가 지니고 있던 신분증. 2025.1.12 [사진=젤렌스키 엑스 캡처]


안창호 국가인권위원회 위원장은 최근 우크라이나군에 생포된 북한군 포로의 신문 영상이 무분별하게 퍼지는 데 대해 우려를 표했다. 

안 위원장은 24일 성명을 내고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에서 생포된 북한군 관련 무분별한 사회관계망서비스(SNS) 및 언론 노출에 대해 깊은 우려를 표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지난 1월 9∼21일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과 우크라이나군은 SNS를 통해 생포한 북한군의 얼굴, 음성 등이 담긴 사진과 동영상을 모자이크 처리나 음성변조 등 후처리 없이 신원 식별할 수 있는 상태로 공개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전쟁포로 대우에 관한 제네바 제3협약' 제13조에 따라 전쟁 포로는 대중의 호기심으로부터 보호돼야 한다"며 "생포 북한군이 SNS와 언론 등을 통해 무분별하게 공개되는 것은 이 협약에서 명시한 포로의 인도적 보호 원칙을 위반하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이어 "생포된 군인들이 본국으로 송환될 경우 어떤 어려움을 겪을지 예측하기 어려운 상황이고, 당사자뿐만 아니라 북한에 남아있는 이들 가족의 신변이 위험해질 수 있는 2차 피해도 우려된다"고 했다.

안 위원장은 "각 국가와 언론사 등이 생포된 북한군 병사들의 신원이 드러나지 않도록 주의를 기울여주기를 요청한다"며 "부득이하게 관련 내용을 보도할 경우 개인을 특정할 수 없도록 사진과 음성 정보를 최대한 적절히 처리할 것을 촉구한다"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