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군기동함대사령부 창설 '한국형 3축체계 핵심전력'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전성민 기자
입력 2025-02-02 12:00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1989년 첫 필요성 제기 이후 36년 만에 기동함대사령부 창설

  • 3일 제주민군복합항서 양용모 해군참모총장 주관으로 창설식

  • 북한 핵·미사일 위협 대응 등 기동부대 임무 수행

 
그래픽해군
기동함대사령부 [그래픽=해군]

 
북한 핵·미사일 위협 대응을 위한 해상기반 한국형 3축체계의 핵심부대이자 국가 생명줄인 해상교통로를 보호하는 기동함대사령부(이하 기동함대)가 지난 1일부로 창설됐다고 해군이 2일 밝혔다.
 
해군은 오는 3일 오전 11시 해군제주기지에서 양용모 해군참모총장 주관으로 기동함대 창설식을 거행한다. 1989년에 필요성이 제기된 이후 36년 만이며, 2010년 기동전단 창설 이후로는 15년 만이다.
 
기동함대는 소장급 사령관(초대 사령관 소장 김인호)이 지휘하며 예하에 세종대왕함급(7600톤)·정조대왕함급(8200톤) 이지스구축함과 충무공이순신함급(4400톤) 구축함 등으로 이루어진 3개 기동전대와 소양함 등 군수지원함으로 이루어진 1개 기동군수전대, 육상 기지방호와 지원임무를 맡는 1개 기지전대로 구성됐다. 추후 국내개발 다기능위상배열레이더 및 전투체계를 탑재하는 구축함(KDDX)이 건조되면 기동함대로 예속될 예정이다.
 
2010년 제7기동전단 창설 당시 규모와 비교해 1개 기동전대와 1개 기동군수전대 등이 증편됐으며, 주력 함정 수는 7척에서 14척으로 2배로 늘었다. 특히 기동함대는 우수한 기동성과 작전수행능력을 바탕으로 수상·수중·공중의 표적을 원거리에서 조기탐지하고, 긴 사거리의 대함·대공·대잠·대지 무장으로 타격하는 강한 전투력의 상징이다.
그래픽해군
기동함대사령부 주요 임무 [그래픽=해군]
 
기동함대는 동·서·남해를 관할하는 해역함대(1·2·3함대)와는 달리 임무와 역할에 따라 필요한 해역에서 부여된 임무를 수행하는 해군 기동부대다.
 
해상기반 ‘한국형 3축체계’ 작전의 핵심전력으로서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을 억제하고, 한반도 주변 해역 감시·대응을 위한 기동부대작전으로 대한민국 해양권익을 보호하며 해상교통로 보호와 청해부대 파병 등 해외파병 임무를 수행한다.
 
또한 유사시 압도적인 전력으로 북방한계선(NLL) 등 임무해역에 투입돼 해양우세권을 달성하고 북한 탄도탄 등 미사일을 조기 탐지, 요격하는 대탄도탄작전을 수행한다. 장거리 타격능력을 바탕으로 핵심표적에 대한 정밀타격 등 주요 임무도 맡는다.
 
그동안 제7기동전단이 대탄도탄작전과 청해부대 파병 등 주로 부여된 임무에 전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해 왔다면 기동함대는 보다 효율적인 전력 운용과 작전을 주도적으로 통제할 수 있게 되어 효과적인 임무 수행이 가능해진다.
 
해군은 기동함대사령부 창설에 앞서 2015년 전구 수중작전을 수행하는 잠수함사령부 창설, 2022년 항공작전을 수행하는 항공사령부를 창설해 해군작전 효율성을 제고해 왔다.
 
김인호 소장은 “기동함대는 국민이 필요로 하는 곳이라면 어디에서나 대한민국의 주권과 해양권익을 보호하는 핵심 기동부대”라며 “유사시 압도적 전력으로서 전승을 보장하고 정부정책을 힘으로 뒷받침하는 부대로 발전시켜 나아가겠다”고 말했다.
 
그래픽해군
기동함대사령부 주요전력 [그래픽=해군]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