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만이 각 부처와 정부기관에서 중국산 인공지능(AI) ‘딥시크’를 금지한다고 밝혔다. 중국으로 흘러갈 정보 유출 우려 때문이다. 미국과 이탈리아 등도 딥시크에 대한 금지 조치에 나섰다.
31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 등에 따르면 대만 디지털부는 이날 공공부문 근로자들에게 딥시크의 AI 서비스를 이용할 경우 중국 정부로 데이터가 유출돼 국가 안보에 위험을 초래할 우려가 있다며 사용 금지 조치를 내렸다고 밝혔다.
디지털부는 성명에서 “딥시크 AI는 중국의 정보통신기술(ICT) 제품이자 서비스로 국경 간 (데이터) 전송, 정보유출, 기타 정보 보안 문제를 수반하며 국가의 정보 보안을 위태롭게 한다”며 정보 보안 위험을 막기 위해 이같이 조치했다고 설명했다.
디지털부는 또 2019년 행정원 규정인 ‘국가 사이버 안보를 위험에 빠뜨리는 제품 사용 제한 원칙’에 따라 정부기관이 국가 안보에 위험을 초래할 수 있는 ICT 제품 및 서비스 사용을 금지하고 있다고 부연했다.
딥시크가 최근 내놓은 AI 모델은 미 최고 모델의 10분의1도 안되는 비용을 들여 개발했지만, 성능은 이에 버금간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미 테크업계를 충격에 빠뜨렸다.
딥시크의 돌풍에 세계 주요국들은 정보 유출 가능성을 우려하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백악관에서 AI칩 선두주자 엔비디아의 젠슨 황 최고경영자(CEO)와 딥시크의 AI 충격에 따른 대(對)중국 추가 수출규제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이탈리아 개인정보 보호 기관 가란테는 개인정보 사용의 불투명성을 들어 지난달 29일부터 딥시크 사용을 차단했다. 네덜란드 당국은 딥시크의 개인정보 수집과 관련해 조사에 착수하기로 하고 자국 사용자들에게 딥시크 서비스 사용에 주의하라고 경고했다.
영국 정부는 딥시크를 국가 안보 측면에서 살펴보고 있으며 독일 당국 역시 딥시크 앱 규제 가능성을 들여다보고 있다. 한국 개인정보보호위원회도 딥시크에 개인정보 수집 항목과 절차, 처리·보관 방법을 확인하는 공식 질의서를 발송할 예정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