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관세 리스크, 위험자산 선호 크게 흔들지 않아"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최연재 기자
입력 2025-02-03 08:47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21일현지 시각 워싱턴 국립 대성당에서 열린 국가 기도회에 참석한 모습 사진AP·연합뉴스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달 21일(현지시간) 워싱턴 국립 대성당에서 열린 국가 기도회에 참석한 모습. [사진=AP·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영향으로 나타나는 관세 리스크가 위험자산 선호 심리를 크게 흔들지는 않을 것이라는 증권가 분석이 나왔다.
 
3일 박상현 iM증권 연구원은 "트럼프 관세정책이 글로벌 경제와 금융시장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은 분명하지만, 그 파장에 대해선 보다 신중하게 지켜봐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외신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오는 4일부터 캐나다 및 멕시코에 대한 25% 관세, 중국산 제품에 대한 10% 관세 부과를 강행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금융시장도 안전자산 선호 현상이 강화돼 달러와 금은 강세를 보였지만, 주가와 비트코인 가격은 조정을 받았다.
 
다만 관세 부과가 글로벌 경제와 금융시장에 미칠 부정적 영향에 대해서는 좀 더 지켜봐야 한다는 것이 증권가의 의견이다. 박 연구원은 "트럼프 대통령은 '협상용이 아니다'라고 했지만, 골드만삭스의 경우 자동차 및 에너지업체 등 주요 기업의 반발 등을 고려해 관세부과가 일시적일 수 있다는 관측을 내놓고 있다"며 "미국 경제 충격을 최소화하기 위한 고민도 보인다. 원유에 대한 수입 관세가 10%로 하향 조정된 것도 관련 조치로 여겨진다"고 분석했다.
 
박 연구원은 "트럼프 대통령이 협상용이 아니라고 했지만, 자동차 및 에너지업체 등 주요 기업들의 반발 등을 고려할 때 캐나다 및 멕시코에 대한 관세 부과가 장기화할지는 좀 더 확인해 볼 필요가 있다"며 "골드만삭스의 경우 관세부과가 일시적일 수 있다는 관측을 내놓고 있고, 미국 경제 충격을 최소화하기 위한 고민도 보인다"고 해석했다.
 
그러면서 "유럽연합(EU)의 금리인하 사이클 지속 및 유로 초약세 등으로 유로 경기의 반등 계기가 강화된다면 트럼프 위험성을 다소 완화해줄 것"이라며 "비트코인 가격 일부 조정과 유가 변동성이 보이지 않은 점 등은 시장의 우려가 크지 않다는 점을 반영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관세 부과 대상 국가 확대 및 관세율의 추가 인상도 지켜봐야 한다. 향후 관세가 부과될 유력 대상국은 유럽연합(EU)과 일본, 한국, 대만 등이며, 중국에 대한 관세율 역시 추가 인상될 가능성이 있다.
 
박 연구원은 "이번 주 트럼프 대통령과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의 정상회담이 예정돼 있다. 정상회담에서 관세와 환율 문제에 대해 어떤 협상 결과가 나올지에 따라 향후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정책 혹은 관세 리스크를 판단해 볼 수도 있는 중요한 잣대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라고 추정했다.
 
금리 인하 사이클이 지속되고 유로 초약세 등으로 EU 경기의 반등 동력이 강화된다면, 트럼프 리스크를 다소 완화할 것이란 분석도 나온다.
 
박 연구원은 "비트코인 가격 안정세와 유가 하락도 긍정적 신호"라고 강조했다. 그는 "대표적 위험자산인 비트코인 가격이 일부 조정을 받았지만, 우려할 정도의 하락세는 아니다. 유동성이 아직 살아있고, 기술주 기대감이 크게 흔들리지 않고 있다는 점을 시사하는 것"이라며 "트럼프 대통령의 원유 관세 부과에도 유가 흐름에 큰 변화가 없다면, 관세 리스크에 대한 시장의 우려가 크지 않다는 점을 반영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