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경수 전 경남도지사가 "탄핵의 종착지는 계엄이 불가능한 개헌"이라며 "이재명 대표가 개헌 추진에 앞장서 주실 것을 요청한다"고 밝혔다. 김 전 지사는 "계엄 방지 개헌은 민주당이 나서야 한다"고도 했다.
김 전 지사는 4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이같이 말하며 "내란세력에 대한 단죄가 헌법재판소의 윤석열 파면으로 끝나서는 안 된다"며 "우선은 정권교체, 곧 민주당의 대선 승리가 탄핵의 완성"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김 전 지사는 "이번 탄핵의 종착지는 이 땅에 내란과 계엄이 다시는 원천적으로 불가능하게 만드는 '개헌'이 돼야 한다"며 "불법적 계엄을 어떻게 원천적으로 방지할 것인지가 더 시급한 과제가 됐다. 거기에 더해 대통령의 권력을 어떻게 분산시키고, 견제와 균형 시스템을 강화할 것인지도 함께 정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김 전 지사는 "국민의 불안을 해소하는 개헌에 대해 민주당이 소극적일 이유가 없다. 개헌에 신중한 이 대표의 고뇌를 모르진 않는다"면서도 "정치권은 책임있게 탄핵 그 이후를 준비해야 한다"고 재차 강조했다.
아울러 김 전 지사는 "제2의 윤석열, 제2의 계엄과 내란이 다시는 이 땅에 발 붙일 수 없도록 하는 것이 진정한 내란 극복"이라며 "이를 계기로 민주공화정을 위협하는 요인들을 극복하는 국가 시스템을 만드는 것이 탄핵의 종착지가 될 것"이라고 하며 이 대표에게 개헌 추진에 앞장서 줄 것을 촉구했다.
김 전 지사는 4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이같이 말하며 "내란세력에 대한 단죄가 헌법재판소의 윤석열 파면으로 끝나서는 안 된다"며 "우선은 정권교체, 곧 민주당의 대선 승리가 탄핵의 완성"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김 전 지사는 "이번 탄핵의 종착지는 이 땅에 내란과 계엄이 다시는 원천적으로 불가능하게 만드는 '개헌'이 돼야 한다"며 "불법적 계엄을 어떻게 원천적으로 방지할 것인지가 더 시급한 과제가 됐다. 거기에 더해 대통령의 권력을 어떻게 분산시키고, 견제와 균형 시스템을 강화할 것인지도 함께 정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김 전 지사는 "국민의 불안을 해소하는 개헌에 대해 민주당이 소극적일 이유가 없다. 개헌에 신중한 이 대표의 고뇌를 모르진 않는다"면서도 "정치권은 책임있게 탄핵 그 이후를 준비해야 한다"고 재차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