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국부펀드 설립을 추진한다. 이 국부펀드를 통해 중국계 동영상 공유 플랫폼 틱톡을 매입할 가능성도 시사했다.
3일(현지시간) AP통 등 외신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백악관 집무실인 오벌오피스에서 재무부와 상무부에 국부펀드 설립을 지시하는 내용의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신설하는 국부펀드가 규모에서 사우디아라비아를 언젠가 따라잡을 것이라며 미국이 짧은 시간 안에 가장 규모가 큰 국부펀드 중 하나를 갖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해 대선 운동 시기 연방정부 차원의 국부펀드 설립을 약속한 바 있다. 당시 고속도로, 공항, 제조업, 의료 연구 등 국가 인프라 사업에 국부펀드를 활용하는 방안을 제안했었다.
트럼프 대통령은 국부펀드를 통해 정부가 틱톡을 인수할 수 있다는 뜻을 밝혔다. 그는 행정명령에 서명하며 기자들에게 “우리는 아마도 틱톡과 무엇을 할 수도, 하지 않을 수도 있다”며 “우리는 틱톡을 국부펀드에 넣을 수도 있고 아니면 다른 부유한 사람들과 협력할 수도 있는 등 선택지가 있다”고 말했다. 미 정치전문매체 더힐은 “트럼프 대통령이 국부펀드 설립 명령에 서명하며 틱톡 인수를 노리고 있다”고 해석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취임일인 지난달 20일 ‘틱톡 금지법’ 시행을 75일간 유예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틱톡 금지법은 틱톡 모기업인 중국 바이트댄스가 미국 사업권을 매각하지 않을 경우 미국 내 서비스를 중단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당시 트럼프 대통령은 안보 우려로 틱톡의 미국 영업을 허용하되 지분 50%를 미국 측에 넘기는 방안을 제시했는데 이날 국부펀드를 틱톡 매수에 활용하는 방안을 언급한 것이다.
서명식에 배석한 스콧 베센트 재무부 장관은 향후 12개월 내로 국부펀드를 설립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은 “미국 정부의 엄청난 규모, 기업과의 사업은 미국인들에게 가치를 창출해야 한다”며 국부펀드를 활용해 백신 제조업체 지분을 인수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미 CNN방송은 “틱톡을 매수하는 데 필요한 수천억 달러를 모을 수 있을지, 운영권을 누가 가질지 등이 여전히 불분명하다”며 “국부펀드를 설립하고 그 자금을 이용해 틱톡을 인수하는 것은 당장 실현될 가능성이 낮다”고 내다봤다. 기술 법률 전문가인 앨런 로젠슈타인 미네소타대 로스쿨 교수는 “틱톡 금지법에 따르면 바이트댄스는 틱톡에서 20% 이상의 지분을 보유할 수 없으며, 바이트댄스가 틱톡을 운영해서도 안 된다”고 짚었다.
국부펀드는 정치적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중앙은행이나 재무장관의 통제를 벗어나 운용된다. 미 뉴욕타임스(NYT)와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전임 조 바이든 행정부는 작년 11월 트럼프 대통령 당선 전에 이런 국부펀드 설립을 검토한 바 있다. 로이터통신은 이 국부펀드에 들어가는 자금이 어디에서 나올 지 불분명하며, 의회의 승인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국부펀드는 일반적으로 석유 자원이 풍부하고, 예산 흑자를 보이는 비서구권 국가에서 흔하다. 가장 큰 국부펀드는 노르웨이, 중국, 아부다비, 싱가포르에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