짐 찰머스 호주 재무부 장관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일방적인 관세 부과로 관세 전쟁이 발생할 가능성에 대해 호주가 만반의 준비를 하고 있다고 밝혔다.
3일(현지시간) 찰머스 재무부 장관은 호주 ABC방송에 출연해 이같이 밝혔다. 그는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에 대해 "이러한 변화는 미국 밖에서는 큰 변화이지만 그리 놀라운 일은 아니다"며 "이러한 변화는 (미국) 선거 기간 동안 어떤 식으로든 예고된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우리는 전 세계적으로 고조되는 무역 긴장에서 자유롭지 않지만 이를 헤쳐나갈 수 있다"며 "우리는 잘 대비하고 있고, 잘 준비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특히 찰머스 장관은 호주가 중국, 멕시코, 캐나다 등 트럼프의 관세 부과 대상이 된 다른 국가들과는 차이가 있다는 점을 지적하며 미국과 "매우 다른 경제적 관계"를 맺고 있다고 말했다.
아울러 "미국은 우리에게 매우 큰 무역 흑자를 내고 있다. 트루먼 행정부 때부터 그랬고, 1952년경에는 (미국의) 대호주 무역 흑자 비율이 2대 1 정도였다"며 "그들은 우리 시장에 무관세로 접근하고 있으며, 이러한 경제 관계는 양측 모두에게 매우 유익한 관계"라고 강조했다.
이는 전날 트럼프 대통령이 "장기적으로 미국은 사실상 전 세계의 거의 모든 국가로부터 갈취당해 왔다"며 "우리는 거의 모든 국가와의 무역에서 적자를 보고 있는데 이를 바꿀 것"이라고 말한 것에 대한 반응으로 보인다.
또한 찰머스 장관은 호주에 관세가 부과될 경우를 대비해 미리 보복 조치를 취하고 싶지 않다며 "그것은 우리의 선호 사항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우리는 선거 전에 무역 긴장이 초래할 수 있는 결과를 살펴보기 위해 많은 작업을 했다"며 "(고위 정부 간부들이) 미국 행정부의 고위 의사결정권자들에게 접근해 우리의 입장을 전달했다"고 전했다.
이와 관련해 그는 앤서니 앨버니지 호주 총리와 트럼프 대통령 간의 직접적인 접촉이 있었는지는 구체적으로 언급하지 않았지만, 선거 후에 관세와 관련한 논의가 있었고 총리가 직접 대화 내용을 공개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2023년 기준 호주의 대미국으로 직접 수출량은 호주 전체 수출의 3%에 불과하다. 다만 호주는 중국과 2015년부터 자유무역협정(FTA)를 시행하고 있어 트럼프 행정부의 대중국 규제 및 고관세 정책이 지속된다면 피해를 볼 가능성도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