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상자산 시장 얼었다 녹았다…트럼프發 관세 쇼크에 변동성 '폭발'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정윤영 기자
입력 2025-02-04 18:00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전날 9만달러 초반까지 급락…4일 10만2000달러까지↑

  • 트럼프 '관세 정책'에 따라 요동쳐…낙폭 하루 만에 회복

  • 트럼프發 불확실성↑…시장에 '호재냐 아니냐' 갑론을박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사진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사진=연합뉴스]

 

가상자산 가격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정책에 따라 극심한 변동성을 보이고 있다. 캐나다, 멕시코, 중국을 겨냥한 고율 관세가 부과되기로 한 전날인 3일 급락했던 비트코인은 관세 부과 유예로 하루도 채 지나지 않아 반등하는 등 불안정한 모습을 보였다.

4일 글로벌코인시황사이트 코인마켓캡에 따르면 전날 오전 11시쯤 전날 대비 8.56% 하락해 9만 달러 초반까지 떨어졌던 비트코인 가격이 불과 14시간 만에 9만9268달러까지 올랐다. 이날 오전 7시 10분에는 10만2000달러 선까지 오르며 낙폭을 만회했다. 

하루 사이 가상자산 전체 시가총액도 큰 변동을 겪었다. 전체 시가총액은 1일 이후 이틀간 약 672조원이 증발했지만, 12시간 만에 453조원을 회복했다.

이러한 급등락의 배경에는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이 있다. 지난 1일 트럼프 대통령은 캐나다, 멕시코에 각 25%, 중국에는 10%의 관세를 이달 4일부터 부과하기로 결정했다. 이후 캐나다와 멕시코가 보복 관세로 반격하며 트럼프발(發) 무역 갈등이 심화됐다.

이에 따라 가상자산 시장도 급격히 요동쳤다. 비트코인은 물론 알트코인인 이더리움이 19.69%, 리플이 22.81%까지 떨어지며 시장 전반에 공포 심리가 확산했다. 그러나 같은 날 밤부터 새벽까지 미국이 멕시코·캐나다와 관세 유예에 합의했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분위기는 급변했다. 트럼프 미 대통령이 관세를 '협상 도구'로만 활용하고 있다는 점이 드러나며 낙폭이 빠르게 회복된 것이다.

가상자산 업계에서는 이번 하락장을 두고 엇갈린 해석이 나오고 있다. 전문가들은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부과 정책이 지속될 경우 가상자산 시장에 악재로 작용할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 있다. 정민교 프레스토 리서치 애널리스트는 "가상자산이 금의 대체재로 언급되긴 하지만, 여전히 많은 투자자들에게는 위험자산으로 인식돼 관세 정책이 가상자산 시장에도 부담이 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반면, 관세 정책이 단기적 압박 도구로 활용되고 있기 때문에 장기적인 무역 전쟁에 들어서게 되면 비트코인 수요가 늘어날 것이라는 낙관론도 제기된다. 제프 박 비트와이즈 자산운용 전략 책임자는 1일 사회관계망서비스(SNS) 엑스(X)에서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은 궁극적으로 외국 투자자들의 달러 의존도를 낮추려는 의도를 갖고 있다"며 "이 과정에서 비트코인이 인플레이션과 달러 약세를 헤지(위험 분산)하는 수단으로서 가치가 높아질 것"이라고 주장했다.

가상자산 투자자들도 이번 급락장을 두고 갑론을박을 펼치고 있다. 회원 100만명을 보유한 국내 최대 가상자산 카페인 비트맨에서는 하락장 이후 장기적인 관점에서 가격이 오를 것이며, 오히려 매수의 기회로 봐야 한다는 의견과 현재가 매도 시점이라는 주장이 엇갈리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