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상자산 가격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정책에 따라 극심한 변동성을 보이고 있다. 캐나다, 멕시코, 중국을 겨냥한 고율 관세가 부과되기로 한 전날인 3일 급락했던 비트코인은 관세 부과 유예로 하루도 채 지나지 않아 반등하는 등 불안정한 모습을 보였다.
4일 글로벌코인시황사이트 코인마켓캡에 따르면 전날 오전 11시쯤 전날 대비 8.56% 하락해 9만 달러 초반까지 떨어졌던 비트코인 가격이 불과 14시간 만에 9만9268달러까지 올랐다. 이날 오전 7시 10분에는 10만2000달러 선까지 오르며 낙폭을 만회했다.
하루 사이 가상자산 전체 시가총액도 큰 변동을 겪었다. 전체 시가총액은 1일 이후 이틀간 약 672조원이 증발했지만, 12시간 만에 453조원을 회복했다.
이러한 급등락의 배경에는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이 있다. 지난 1일 트럼프 대통령은 캐나다, 멕시코에 각 25%, 중국에는 10%의 관세를 이달 4일부터 부과하기로 결정했다. 이후 캐나다와 멕시코가 보복 관세로 반격하며 트럼프발(發) 무역 갈등이 심화됐다.
가상자산 업계에서는 이번 하락장을 두고 엇갈린 해석이 나오고 있다. 전문가들은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부과 정책이 지속될 경우 가상자산 시장에 악재로 작용할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 있다. 정민교 프레스토 리서치 애널리스트는 "가상자산이 금의 대체재로 언급되긴 하지만, 여전히 많은 투자자들에게는 위험자산으로 인식돼 관세 정책이 가상자산 시장에도 부담이 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반면, 관세 정책이 단기적 압박 도구로 활용되고 있기 때문에 장기적인 무역 전쟁에 들어서게 되면 비트코인 수요가 늘어날 것이라는 낙관론도 제기된다. 제프 박 비트와이즈 자산운용 전략 책임자는 1일 사회관계망서비스(SNS) 엑스(X)에서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은 궁극적으로 외국 투자자들의 달러 의존도를 낮추려는 의도를 갖고 있다"며 "이 과정에서 비트코인이 인플레이션과 달러 약세를 헤지(위험 분산)하는 수단으로서 가치가 높아질 것"이라고 주장했다.
가상자산 투자자들도 이번 급락장을 두고 갑론을박을 펼치고 있다. 회원 100만명을 보유한 국내 최대 가상자산 카페인 비트맨에서는 하락장 이후 장기적인 관점에서 가격이 오를 것이며, 오히려 매수의 기회로 봐야 한다는 의견과 현재가 매도 시점이라는 주장이 엇갈리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