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회생 판결을 앞둔 테라사이언스 전·현직 경영진 간의 갈등이 격화되고 있다. 양측의 입장이 극명하게 갈려 향후 법원 결정에 중요한 변수로 작용할 전망이다.
4일 테라사이언스 소액주주연대와 전 경영진은 현 경영진의 횡령·배임 규모가 282억원에 달한다고 주장했다. 이 과정에서 회사 자산을 무분별하게 유출하고 있어 회생절차를 앞당겨 투명성을 확보해야 한다는 것이다.
소액주주연대는 지난해 10월 서울경찰청에 현 경영진에 대한 고소장을 제출했다. 테라사이언스가 보유한 다보링크 주식 1000만 주를 담보로 설정해 112억4000만원을 횡령한 것과 60만 주를 타인에게 이체해 14억원 상당의 주식을 횡령한 사실도 밝혀졌다. 씨디에스홀딩스의 테라사이언스 유상증자 대금 납부 명목으로 60억원을 추가 횡령한 정황도 확인됐다.
소액주주연대 관계자는 "현 경영진이 기업을 사유화하며 지속적으로 자산을 유출하고 있다"며 "회생절차를 통해 부외부채 규모를 정확히 파악하고, 경영진의 법적 책임을 명확히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그는 "회생 절차를 통해 자산 동결 및 재정 상황을 명확히 공개하는 것이 오히려 투자자들의 신뢰를 회복하는 길"이라고 덧붙였다.
테라사이언스 현 경영진은 기업회생을 반대하고 나섰다. 테라사이언스 측은 "회생절차에 들어가면 기업 운영에 필요한 자금 조달이 더욱 어려워진다"며 "외부 투자 유치가 중단되면 거래 재개 가능성이 더 낮아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또한 "현재 회사가 위기에 처한 것은 전 경영진의 무리한 사업 확장과 부실 경영이 원인"이라며 "책임을 전가하려는 의도가 강한 회생 신청"이라고 반박했다.
전문가들은 테라사이언스 정상화를 위해선 회생절차 개시가 우선 돼야 한다고 분석했다. 법원에 제출된 회생절차 개시 신청서에는 회생절차를 통한 경영 투명성 확보 및 부외부채 확인이 주요 목표로 명시되어 있다.
법원이 회생절차를 승인할 경우, 현재까지 숨겨져 있던 우발 채무와 내부 비리 정황이 추가로 드러날 가능성이 크다. 특히, 다보링크 주식 담보 거래와 엔포스페이스와의 계약 위반 사례 등 현 경영진이 추진한 거래들의 법적 타당성이 다시 검토될 것으로 보인다.
현재 법원은 테라사이언스의 재무 상태와 부채 구조를 면밀히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기업회생이 승인될 경우, 현 경영진의 경영권 박탈 가능성이 커진다. 새 경영진이 투입될 가능성이 높아진다. 소액주주연대는 회상절차가 기각될 경우 형사 소송을 포함한 강경 대응에 나설 계획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