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 트럼프 관세에 보복조치 검토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이은별 수습기자
입력 2025-02-04 15:43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미국 IT기업 대상 디지털서비스세 재평가 착수하기도

키어 스타머 영국 총리가 3일 브뤼셀 나토 본부에서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사진 AFP연합뉴스
키어 스타머 영국 총리가 3일 브뤼셀 나토 본부에서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사진= AFP·연합뉴스]

영국 정부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관세 부과 가능성에 대비해 보복 조치를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는 3일(현지시간) 복수의 소식통을 인용해 키어 스타머 영국 총리가 이끄는 노동당 내각이 트럼프 행정부가 관세를 부과하면 취할 수 있는 비상계획 등을 검토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앞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전날 워싱턴DC 앤드루스 공군기지에서 기자들과 만나 “유럽연합(EU)에 대한 관세를 확실히 부과할 것”이라고 공언했다.
 
익명의 영국 정부 당국자는 FT에 “우리는 (미국의 관세 부과에 대한) 준비가 돼 있다”며 “우리는 트럼프 대통령과 긴밀히 협력하기를 기대하지만 장관들은 항상 국가 이익에 가장 좋은 일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 다른 당국자는 “미국의 관세 조치는 당황스럽다”며 “개방경제는 영국의 큰 장점이지만 현재 불확실성이 매우 높기 때문에, 어떤 방안도 배제할 수 없다”고 했다.
 
스타머 총리는 이날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연설에서 미국과의 관세 문제와 관련해 “아직은 초기 단계이고, 개방적이고 강력한 무역관계가 매우 중요하다고 본다”며 원론적 입장을 확인했다. 영국 총리실 역시 보복 조치의 가능성을 열어두면서도 “영·미 교역 관계가 더 발전하길 바란다”며 조심스러운 입장을 내놨다.
 
트럼프 대통령은 최근 스타머 총리와의 통화 이후 “스타머 총리는 매우 친절했다”며 “그와 잘 지내고 있다”며 영국에 대한 관세를 타협할 수 있다는 의사를 내비친 바 있다.
 
한편 영국 텔레그래프는 자국 정부가 미국의 대형 정보기술(IT) 기업들을 대상으로 디지털서비스세 재평가에 착수했다고 전했다.
 
영국이 2020년부터 디지털서비스세를 시행했으며, IT기업에 영국 내 매출의 2%를 과세한다. 레이첼 리브스 영국 재무장관은 “애플, 아마존, 구글 등은 강력한 압박에 직면할 것”이라고 말했다고 텔레그래프는 전했다.
 
영국 정부가 디지털서비스세를 언급한 것은 이를 미국의 관세 부과 시 보복 조치나 트럼프 대통령과 협상 테이블에서 유리한 방향으로 이끄는 지렛대로 활용할 수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텔레그래프는 영국의 디지털서비스세뿐만 아니라 온라인 언론을 규제하는 ‘온라인 안전법’도 트럼프 행정부가 우려하는 사항이며, 영국은 온라인 안전법도 협상 테이블에 올려놓을 수 있다고 전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