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생 1인당 월평균 사교육비가 1% 늘면 합계출산율이 최대 0.3% 가까이 줄어든다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
김태훈 경희대 경제학과 교수는 5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과 서울대가 개최한 제37회 인구포럼에서 '사교육비 지출 증가가 출산율에 미치는 영향'을 주제로 이같이 발표했다.
김 교수는 2009∼2023년 사교육, 출산 데이터를 활용해 사교육비 지출과 합계출산율의 관계를 분석했다.
그 결과 전년도 학생 1인당 월평균 사교육비가 1% 늘면 합계출산율이 약 0.192∼0.262%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사교육비 증가는 둘째, 셋째 이상 자녀 출산에 훨씬 더 큰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김 교수는 대입 재수생 비율 상승에도 주목했다.
김태훈 교수는 "한국의 재수생 비율이 높고, 재수 기간 중 사교육비 지출도 많은 것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에 실제 사교육비 지출이 과소 평가됐을 수 있다"며 "재수 입학으로 많은 젊은이의 사회 진출이 늦어짐에 따라 천문학적인 생산 감소와 사회적 비용이 발생할 수 있다"고 예상했다.
그러면서 "재수생이 또 다른 재수생을 양산하면서 노동시장 진입과 혼인이 늦춰져 미래 출산율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줄 가능성이 있다"고 우려했다.
김 교수는 "공교육을 강화해 사교육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는 주장이 있지만 입시 사교육의 본질이 남들보다 1점이라도 더 받는 것이기 때문에 이런 주장에 회의적"이라며 "적어도 초등학생이나 중학생에 대해서는 심야 교습 규제를 강화하고, 휴일 휴무제도 적극적으로 논의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김태훈 경희대 경제학과 교수는 5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과 서울대가 개최한 제37회 인구포럼에서 '사교육비 지출 증가가 출산율에 미치는 영향'을 주제로 이같이 발표했다.
김 교수는 2009∼2023년 사교육, 출산 데이터를 활용해 사교육비 지출과 합계출산율의 관계를 분석했다.
그 결과 전년도 학생 1인당 월평균 사교육비가 1% 늘면 합계출산율이 약 0.192∼0.262%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사교육비 증가는 둘째, 셋째 이상 자녀 출산에 훨씬 더 큰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김태훈 교수는 "한국의 재수생 비율이 높고, 재수 기간 중 사교육비 지출도 많은 것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에 실제 사교육비 지출이 과소 평가됐을 수 있다"며 "재수 입학으로 많은 젊은이의 사회 진출이 늦어짐에 따라 천문학적인 생산 감소와 사회적 비용이 발생할 수 있다"고 예상했다.
그러면서 "재수생이 또 다른 재수생을 양산하면서 노동시장 진입과 혼인이 늦춰져 미래 출산율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줄 가능성이 있다"고 우려했다.
김 교수는 "공교육을 강화해 사교육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는 주장이 있지만 입시 사교육의 본질이 남들보다 1점이라도 더 받는 것이기 때문에 이런 주장에 회의적"이라며 "적어도 초등학생이나 중학생에 대해서는 심야 교습 규제를 강화하고, 휴일 휴무제도 적극적으로 논의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