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희스타힐스

샤프에 이어 파나소닉도...'70여년 전통' TV사업 철수 검토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최지희 도쿄(일본) 통신원
입력 2025-02-05 17:07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2027년 3월까지 수익 개선 없으면 그룹에서 배제"

  • 저렴한 중국 업체가 TV 시장 점유

사진AFP연합뉴스
[사진=AFP·연합뉴스]


그동안 강자로 군림해온 일본 TV 산업의 축소 움직임이 계속되고 있다. 샤프의 관련 공장 폐쇄 이후, 전신인 마쓰시타전기 시절인 1952년 첫 TV 판매 이후 약 70여 년간 TV를 판매해 온 파나소닉홀딩스도 TV사업을 철수 혹은 축소를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아사히신문의 5일 보도에 따르면 파나소닉홀딩스는 전날 2024년 4~12월기 결산 온라인 설명회에 급히 구스미 유키 사장의 '그룹 경영 설명회'를 추가로 열었다.

이 자리에서 구스미 사장은 차량용 배터리 등 중점 영역에 대한 투자가 수익을 내지 못하고 있는 현 상황을 반성하고 구조개혁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그러면서 TV를 비롯해 산업용 기기, 메카트로닉스, 주방가전 등 4개 사업을 과제 사업으로 꼽았다.

그는 이들 사업에서 2027년 3월까지 수익 개선이 없는 경우 "그룹 외부로 내보낼 각오가 있다"고 강조했다. TV 사업에 대해서는 "매각에 응하려는 기업은 현재로서는 없다"고 하면서도 "다양한 방안을 생각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한 백색가전과 에어컨, 조명 등을 총괄하는 업체 '파나소닉'을 내년 3월 이전까지 해체하는 등 조직 개편 방침도 발표했다. 업체명인 '파나소닉'에 대해서는 이를 남겨둘 지 여부를 포함하여 검토해 나갈 방침이라고 밝혔다.

반면 파나소닉홀딩스는 앞으로 항공기 내 엔터테인먼트 및 통신 시스템, 축전지, 기업용 IT 서비스 등에 주력할 예정이라고 아사히는 전했다.

일본BCN종합연구소에 따르면 일본 내 평면 TV 판매량 점유율에서 파나소닉은 2018년에 2위(16.8%)를 기록했으나 2024년에는 6위(8.8%)로 떨어졌다. 1위는 중국 가전업체 하이센스 산하 'TVS 레그자'(25.4%), 2위는 대만 홍하이 산하 샤프(20.6%), 3위는 중국 하이센스(15. 7%)였다. 일본에서 중국 업체의 TV 시장 점유율이 50% 가까이 차지하고 있는 상황인 것이다.

이에 대한 배경으로는 물가 상승으로 인해 소비자들이 더욱 저렴한 TV를 찾게되면서 해외 제조업체가 부상하게 됐다고 아사히는 전했다.

파나소닉을 비롯한 일본의 TV 제조업체들은 한 때 전 세계를 휩쓸며 전성기를 누렸지만 지난 10년 간을 돌이켜보면 철수와 축소 움직임이 잇따르고 있다.

2018년에는 도시바가 TV 사업을 하이센스에 매각했고, 히타치제작소도 일본 국내 판매에서 철수했다. 2021년에는 미쓰비시전기도 가전양판점에 대한 출하 종료를 선언했다. 지난 해 봄에는 샤프가 사카이 공장 폐쇄를 발표하고 국내에서 유일하게 남아 있던 TV용 액정 생산에서 철수했다. 파나소닉 역시 최근 TV 생산을 타사에 위탁하는 등 사업을 축소해 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