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이 반도체특별법의 '주 52시간 예외 적용' 문제를 단계적으로 합의할 수도 있다는 것을 시사했다.
조승래 민주당 수석대변인은 5일 국회에서 열린 '트럼프 2.0 시대 핵심 수출기업의 고민을 듣는다 : 종합토론회'가 끝나고 기자들과 만나 "반도체특별법을 2월 국회에서 처리하기 위해 노력하겠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러면서 조 수석대변인은 "(주요 수출기업과 경제 단체들의) 반도체 경기 전망이 상당히 안좋다는 지적이 있었다"며 "수출기업은 물류 지원 건의가 많이 있었고, (국회에서) 이 부분을 관심 가져달라고 요청했다"고 전했다.
조승래 민주당 수석대변인은 5일 국회에서 열린 '트럼프 2.0 시대 핵심 수출기업의 고민을 듣는다 : 종합토론회'가 끝나고 기자들과 만나 "반도체특별법을 2월 국회에서 처리하기 위해 노력하겠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러면서 조 수석대변인은 "(주요 수출기업과 경제 단체들의) 반도체 경기 전망이 상당히 안좋다는 지적이 있었다"며 "수출기업은 물류 지원 건의가 많이 있었고, (국회에서) 이 부분을 관심 가져달라고 요청했다"고 전했다.
또 조 수석대변인은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야당 간사를 맡고 있는 김원이 의원이 이 자리에서 "반도체특별법과 해상특별법, 전력망법 등 2월에 처리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고 소개했다.
특히 조 수석대변인은 반도체특별법의 '주 52시간 예외 적용'에 대해 "논의 진행 중"이라며 "쟁점이 해결되지 않는다고 해서 모든 합의 내용을 멈추는 게 맞는 것이냐, 단계적으로 가도 되지 않냐라는 의견도 있었다"고 전했다. 이어 "노동계가 우려하는 걸 제대로 구체적으로 설계한다면 합의 안 될 이유가 없다는 생각"이라고 했다.
이재명 대표가 참석자들에게 "제일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을 물었고, 인공지능(AI)에 대한 집중지원이 필요하다는 답이 나왔다고 했다. 조 수석대변인은 "공통적으로 나온 얘기는 인력 얘기가 가장 컸다"고 부연했다.
민주당이 반도체특별법을 이달 국회에서 처리하겠다는 뜻을 재차 밝히면서, 여야의 반도체특별법 처리에 속도가 날 전망이다. 이 대표는 "과거에는 정부 주도로 문제를 해결했지만 이제는 민간 역량이 정부 역량을 뛰어넘어 정부만으로는 해결책 찾기 쉽지 않다"며 "일선의 기업들과 경제인들의 의견이 제일 중요하다"고 말하기도 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