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희스타힐스

산모 85% 산후조리원 이용…2주간 평균 287만원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주혜린 기자
입력 2025-02-05 15:10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복지부 2024년 산후조리 실태 조사

  • 배우자 출산휴가·육아휴직 모두 늘어

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산모 10명 중 8명꼴로 산후조리원을 이용하고 평균 12.6일 머물며 287만원을 지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후조리원 지출 비용은 3년 새 43만원 넘게 올랐다.

5일 보건복지부가 발표한 2024년 산후조리 실태조사에 따르면 산모들의 장소별 이용률(복수응답 가능)은 산후조리원 85.5%, 본인 집 84.2%, 친정 11.2%, 시가 1% 순이었다. 

산후조리 기간은 평균 30.7일이며 본인 집(22.3일)이 가장 길었다. 친정 20.3일, 시가 19.8일, 산후조리원 12.6일 순이었다.

지난해 산모들은 조리 기간에 산후조리원에서 평균 286만5000원을 지출했다. 산후조리원 지출액은 2018년(220만7000원)보다 2021년(243만1000원)에 10%가량 늘었고 이번 조사에서는 3년 새 17.9% 증가했다.

가정에서 하는 산후조리엔 평균 125만5000원이 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2018년 95만8000원에서 2021년 81만5000원으로 14.9% 감소했다가 지난해 125만5000원으로 50%가량 급증했다.

산후조리에 필요한 정부 정책을 묻는 질문에 '산후조리 경비지원'이 60.1%로 가장 많았다. 이어 배우자와 산모에 대한 출산휴가 확대(각 37.4%·25.9%), 배우자 육아휴직 활성화(22.9%) 등이 꼽혔다.

출산 직전 취업 상태였던 산모(전체 중 82.0%) 중 출산 휴가는 58.1%, 육아휴직은 55.4%만 썼다고 답했다. 2021년 조사 당시보다 각각 5.7%포인트, 1.2%포인트 감소했다. 

반면 배우자 출산휴가·육아휴직 사용률도 크게 높아졌다. 배우자가 출산휴가를 사용한 비율은 55.9%로 2.4%포인트, 육아휴직은 17.4%로 약 두 배 늘었다.

김상희 복지부 인구아동정책관은 "산모의 정책 욕구를 충분히 검토해 필요한 정책을 개발·추진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