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일 업계에 따르면 국내 완성차와 부품업체는 지난 3일 한 자리에 모여 미국 우선 통상정책에 대해 논의했다. 트럼프 2기 행정부의 관세 부과 정책뿐 아니라 미국 내에서는 무역법 301조, 무역확장법 232조, 미국·멕시코·캐나다 협정(USMCA) 등 무역 협정과 같은 강도 높은 무역 리스크가 존재하고 있다는 공감대가 형성됐다.
트럼프 행정부가 불공정 부역과 무역 불균형 해소를 위한 종합적 방안을 내놓기까지 약 2달 남았다. 미 정부의 움직임을 미리 파악하고 단기적인 대책부터 마련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업계 곳곳에서 나오고 있다. 일부 기업들은 한시적으로라도 정부의 정책자금 지원을 통해 국내 기업들의 부담을 덜어줘야 한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기업정책자금은 기업신용등급 B+ 이상인 기업에 지원된다. 차 부품사는 수출 부진, 원자재값 상승 등으로 극심한 경영난을 겪으며 BB+ 이하의 신용등급인 기업이 상당하다. 외부감사대상 부품업체의 평균 영업이익률은 3%로 2011년 6.8% 대비 절반 이상 하락했다. 국내 완성차 5사의 평균 영업이익률(9.1%)과는 3배 차이가 난다. 한국자동차산업협동조합에 따르면 멕시코에 진출한 국내 부품 회원사는 현대모비스, 현대위아, HL만도 등 약 54곳으로 이 밖에 규모가 작은 협력사들도 많은 수가 진출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동안 수출을 많이 한 기업을 대상으로 기업정책자금 신용도 기준을 BB+로 완화해 단기적 정책자금 지원을 해줘야 한다는 논리도 펼쳐지고 있다.
멕시코 공장 이전을 두고는 업체간 판단이 갈리고 있다. 기아와 현대차그룹 계열사는 가격 인상이나 생산지 조정 등을 통한 대비를 할 수 있는 반면 중견 이하 기업들에게는 부담이다. 관세부과가 현실화하면 멕시코 생산분 일부를 한국 공장으로 돌리거나 국내 복귀 카드를 검토하는 곳이 적지 않다. 해외에서 벌어들인 수익에 대한 세금 인하나 국내 재투자 요건, 인센티브 강화 등 유턴기업에 대한 정부의 지원 요건 완화도 대안으로 나온다. 현재 한국에서 미국으로 부품을 수출하면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에 따라 관세는 0%다. 트럼프 행정부 4년 동안 국내 공장의 수출을 늘리며 대응하겠다는 곳도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