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일 한국은행 경남본부가 발간한 '경남지역 자영업 부진의 구조적 요인 및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경남지역의 2023년 자영업자 1인당 소득은 2015년 대비 19.0%, 개인사업장당 소득은 19.1% 감소하면서 전국 평균(16.9%·18.1%)보다 낮은 수준을 기록했다. 두 항목 모두 2015년 정점을 찍은 이후 8년째 하락세다.
부채는 증가 추세다. 경남의 자영업자 차주 수 증가율은 △2024년 1분기 1.6% △2분기 3.8% △3분기 5.3% 등 최근까지도 증가 흐름을 이어가고 있다. 전국 전체 자영업자 차주 수 증가율이 2022년 3분기 이후 지속 하락해, 2024년 1분기부터 감소 전환된 것과 상반된다. 차주 특성별로 보면 상대적으로 부채 상환 능력이 떨어지는 저소득·저신용 차주의 비중이 높아지고 있다.
전국으로 넓혀보면 부의 편중은 서울, 울산, 대구 등 주요 대도시에 쏠려있었다. 2023년 자영업자 1인당 소득(전국평균=100)은 서울(178.1)만 나홀로 180에 육박했다. 뒤이어 울산이 113.6, 대구가 112.2를 기록했다.
보고서를 작성한 김형준 한은 경남본부 기획조사팀 과장은"경남 거주자의 전자상거래 소비 활성화로 경남 자영업자의 경쟁 범위가 확대됐지만, 자영업자의 전자상거래 활용도는 상대적으로 저조한 상황"이라며 "이는 전자상거래를 통한 소비 유출이 증가하고 소비 유입은 제약되는 요인으로 작용한다"고 분석했다.
자영업 비중이 높은 업종에서 소비 순유출이 지속되면서 경남 도내 자영업 업황 개선이 제약되고 있다는 뜻이다. 인구 구조 변화도 연령대별 소비 구조의 불일치를 심화시키는 요인으로 지적됐다. 특히 지역 내 청년 인구 유출은 장기적으로는 저출생으로 이어져 양적·질적 측면 모두에서 자영업 수요 기반 악화로 이어질 수 있다.
김 과장은 "고령층은 퇴직 등으로 처분가능소득과 소비 지출이 크게 감소하게 된다"며 "(저출생·고령화로 인한) 지역 인구 감소는 전반적인 소비 지출 규모를 감소시켜 자영업 수요 기반을 위축시킬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인구 감소와 청년층 유출을 억제할 수 있도록 도내 정주 여건을 개선해 자영업 수요 기반 위축을 완화해야 한다"며 "일시적 유동성 위기를 겪는 차주들에게는 적극적 금융 지원을 실시하고 회복이 어려운 차주들에 대해서는 원활하게 시장에서 퇴장할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